• 전체메뉴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UPDATA : 2025년 11월 15일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아리피프라졸 장기 지속형 주사제, 양극성장애 재발률 감소”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양극성장애 환자에게 아리피프라졸 장기 지속형 주사제(메인테나)를 사용한 경우, 재발률이 3분의 1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극성장애(조울병)는 조증/경조증 삽화, 우울 삽화, 혼재성 양상 등 경과에 따라 다양한 임상 양상이 나타나는

뉴스 전훈아 기자 2024-05-22 09:35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유상준 교수

※전문분야: 비뇨기종양, 전립선질환, 배뇨장애,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 고환암, 전립선 비대, 혈뇨, 신장이식 기증자 수술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박사▲서울아산병원 전공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교수▲대한비

멘토클럽 이예숙 기자 2024-05-21 14:39

[칼럼]천의 얼굴 ‘전립선암’의 다양한 치료법

▲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비뇨의학과 유상준 교수 전립선암은 다양한 특성과 악성도를 가져 ‘천의 얼굴’이라 불린다. 주로 60~80대의 고령환자에게 호발하는 전립선암의 예방과 진단, 치료법 등에 대해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비뇨의학과 유상준

칼럼 전훈아 기자 2024-05-21 12:07

분당서울대병원 “‘동적 바이노럴 비트’로 불면증 개선”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윤창호·이우진 교수, 고려대학교 전자·정보공학과 황한정 교수 연구팀(이화아니 충북대학교 연구원)은 양쪽 귀에 다른 주파수를 보내 특정 뇌파의 형성을 유도하는 ‘동적 바이노럴 비트’ 기술로 불면증을 개선하고 수면의

뉴스 김태형 기자 2024-05-21 10:19

[칼럼]심장 기능 회복시키는 ‘관상동맥우회술’이란?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박유경 교수 관상동맥우회술은 심장 근육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져 심장 근육으로의 원활한 혈액 공급이 안 될 때, 우회로를 만들어 혈류를 개선하는 수술이다.관상동맥우회술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칼럼 이현이 기자 2024-05-21 10:14

엄지발가락 통증에 부기까지... ‘통풍’ 있다면 이렇게 드세요!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통풍은 혈중 요산 농도가 높아지면서 요산 나트륨 결정이 관절과 주위 조직에 침착되는 질환이다. 엄지발가락, 발목, 무릎, 손목 등의 관절에 갑작스럽고 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발열, 오한, 피로감이 동반되는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요산은 퓨린이라는

건강정보 이예숙 기자 2024-05-21 09:38

[건강물음표] 몇 달간 지속된 구내염, '구강암' 증상일 수 있어

▲ 출처=게티이미지뱅크누구나 한번쯤은 혓바늘의 고통을 느껴본 적이 있다. 혓바늘은 혀의 돌기와 표면에 생긴 염증으로, 흔히 입병이라 불리는 구내염의 일종이다. 우리는 말을 할 때, 음식을 먹을 때 입을 사용하며, 입에 생긴 염증은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에 충분하다.다만

건강정보 이현주 기자 2024-05-20 20:51

[건강물음표] 눈곱으로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몸에서 때가 나오듯, 눈에서도 생리적인 분비물 '눈곱'이 생성된다. 눈곱은 눈물과 먼지, 각막, 결막에서 떨어져 나온 늙은 세포 등이 혼합돼 만들어진다. 흔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 눈에 생기는 눈곱은 눈에 있는 노폐물이 정상적으로 배출돼 생기는 자연

건강정보 이현주 기자 2024-05-20 18:59

호흡 곤란까지 부르는 ‘레지오넬라증’ 예방 위해서는?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레지오넬라증은 레지오넬라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제3급 급성 호흡기감염병이다. 레지오넬라균은 강, 호수, 하천 등 자연계에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세균이지만 25~45도의 따뜻한 물이나, 건물 및 시설 내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배관시설의 고인물

건강정보 전훈아 기자 2024-05-20 14:56

자생한방병원 “만성 턱관절 장애, 물리치료보다 약침이 더 효과적”

▲ 사진제공=자생한방병원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박경선 원장 연구팀은 만성 턱관절 장애 치료에 대한 자하거 약침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자하거 약침치료군과 물리치료군의 치료 경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자하거 약침이

뉴스 전훈아 기자 2024-05-20 10:53

중외제약, 기존 탈모치료제 比 ‘JW0061’ 모낭생성·모발성장 우위성 입증

▲ 사진제공=JW중외제약 JW중외제약은 지난 15일부터 나흘간 미국 텍사스주 달라스에서 열린 미국 피부연구학회(Society of Investigative Dermatology)에서 기존 탈모치료제 대비 Wnt 표적 탈모치료제 ‘JW0061’의 모낭생성·모발성

뉴스 김태형 기자 2024-05-20 10:35

상처 잘 안 낫고 괴사까지... 하지동맥폐색증, 원인 막아야 예방

▲ 인천성모병원 혈관이식외과 김상동 교수하지동맥폐색증을 초기에 발견하면 생활습관 교정과 약물치료만으로도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괴사가 온 상태에서도 치료를 받지 않게 되면 1년 안에 환자의 절반이 다리를 절단해야 할 수도 있다. 하지동맥혜색증에 대해 가톨릭대학교 인

인터뷰 이현이 기자 2024-05-20 10:29

‘자외선’과 거리 두기 해야 할 때... ‘마스크’로 해결 가능?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1년 중 자외선이 가장 강한 시기인 여름철이 다가오고 있다. 자외선은 지구 온난화 등으로 오존층이 얇아져 더욱 강해졌으며, 눈에 보이지 않아 직접 느낄 수는 없지만 흐린 날뿐 아니라 자동차, 집 등 실내에서도 노출될 수 있어 피부 건강에

건강정보 이현이 기자 2024-05-20 10:06

건강한 손톱 유지하려면?

손톱은 건강 상태를 체크 할 수 있는 우리 몸의 중요한 부분이다. 남에게 보이는 부위이기에 치장하는 사람도 많은데, 잘못 관리하면 약해지거나 갈라지기도 한다. 건강한 손톱을 유지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카드뉴스 이예숙 기자 2024-05-20 09:27

염증성 장질환, 혈변·복통 있다면 의심해 봐야

▲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고성준 교수 매년 5월 19일은 ‘세계 염증성 장질환의 날’이다. 염증성 장질환은 설사, 혈변,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난치성 질환으로, 국내 환자 수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고성준 교수

인터뷰 이현이 기자 2024-05-17 12:12

  • 126
  • 127
  • 128
  • 129
  • 130

최신기사

2025-11-14 11:29
뉴스

삼성서울병원, 심장성 쇼크 환자 대상 ‘임펠라’국내 최초 시술

2025-11-14 11:23
뉴스

단일공 로봇수술, 단일공 복강경 대비 대장암 환자 조기 회복에 효과적

2025-11-14 11:19
건강정보

독감은 독한 감기?... 단순 감기 아닌 ‘급성 호흡기 질환’

2025-11-14 11:10
뉴스

GC녹십자, 배리셀라주 2도즈 베트남 임상 3상 IND 신청

2025-11-14 11:08
뉴스

광동제약, '광동 경옥고' 30포 한정판 패키지 출시

전체기사인기기사

  • 1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허연 교수

  • 2

    [기자의 눈] 불안 해소제?... 둔갑된 전문의약품, 치명적 부작용 우려

  • 3

    [강직성척추염의 날] 움직일수록 통증 줄어... 젊은 층 위협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

  • 4

    [칼럼] 폐렴, 단순 감기인 줄 알았다가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 질환

  • 5

    [독자Q&A] 뇌졸중 예방은 어떻게 해야 할까?

  • 언론사소개
  • 기사제보
  • 문의하기
  • 언론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헬스위크 | 사업자명 : NGM내가미래다(주) | 등록번호 : 서울-자 60056 | 등록일 : 2020년 09월 01일
발행인 : 김덕진ㆍ편집인 : 이현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숙 | 발행일자 : 2020년 09월 1일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11길 7, C동 405, 406호 | 대표전화 : 02-6338-0338
헬스위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Healthweek.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