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UPDATA : 2025년 11월 14일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부산대병원, 항암 주사 조제 관리 시스템 도입... “전국 최초”

▲ 사진제공=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은 암환자 치료의 안정성 향상과 항암제 조제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전국 최초로 항암 주사조제 관리 시스템인 ‘키로 어시스트(KIRO Assist)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이번에 도입된 주사조제 관리시스템은 정

뉴스 이예숙 기자 2024-07-25 09:31

“삶의 질과 직결”... ‘두경부암’ 부위별 증상 및 치료법

▲ 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정은재 교수주로 머리와 목 부위에서 발생하는 두경부암은 먹고, 숨 쉬고, 말하는 것은 물론 심미적 기능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적극적인 기능 보존과 재건이 중요하다. 7월 27일 ‘세계 두경부암의 날’을 맞아 서울대학교병원 이비

인터뷰 이현주 기자 2024-07-24 10:53

분당서울대병원, 카카오톡 기반 진료예약 서비스 ‘케어챗’ 오픈

▲ 사진제공=분당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카카오톡 기반 진료예약 서비스 ‘케어챗’을 오픈했다고 24일 밝혔다.케어챗은 카카오톡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채널에서 환자들이 직접 챗봇과 대화하며 진료 예약, 예약 변경 및 취소 등을 할 수 있는 ‘디지털 프론

뉴스 전훈아 기자 2024-07-24 09:59

OO, ‘두경부암’ 발생 15배 높여... 예방&조기 발견 중요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두경부는 머리와 목 부위를 중심으로 가슴, 폐 위쪽의 눈과 뇌를 제외한 부분을 이른다. 즉 입, 코, 목, 혀 등이 모두 두경부에 속하는 것. 두경부암은 두경부에 발생한 모든 종류의 악성종양을 총칭하며 코, 부비동, 구강, 안면, 후두,

건강정보 이현이 기자 2024-07-24 09:41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줄기세포 반복 투여로 치료”[연구]

▲ (좌측부터)줄기세포 치료 전 , 줄기세초 치료 후, 사진제공=서울성모병원 혈액암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인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환자에게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

뉴스 이현주 기자 2024-07-23 10:06

백신 없는 ‘C형 간염’, 내년부터 국가검진 포함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간경변과 간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C형간염이 내년부터 국가건강검진에 포함된다. C형간염 검진은 56세가 되는 해에 생에 단 1회만 받는 방식으로 이뤄지며, 1969년생이 내년 검진 대상이다.C형간염은 혈액이나 채액을 통한 C형간염 바

건강정보 김태형 기자 2024-07-23 10:03

휴온스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제조 방법’ 특허 등록

휴온스랩이 최근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연구 개발 성과와 관련 특허를 등록했다고 23일 밝혔다.휴온스랩은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경하는 데 사용하는 인간 히알루로니다제인 ‘하이디퓨즈’(HyDIFFUZE™)의 생산 방법에 대한 국내 특허를

뉴스 이예숙 기자 2024-07-23 09:39

[독자Q&A] 아이가 근시인데, 억제 방법은?

※헬스위크에서는 건강과 관련한 독자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고 있습니다. 의료 각 분야 전문가들의 명쾌한 답을 듣고자 하시는 독자께서는 ‘기사제보’ 코너를 통해 궁금증을 남겨주세요!☞기사제보 바로가기▲ 출처=게티이미지뱅크 Q.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2학년 아이의

독자Q&A 김태형 기자 2024-07-22 16:48

볼에 붉은 나비 발진... 만성 희귀질환 ‘루푸스’ 의심해 봐야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류마티스내과 정성수 교수이유 없이 피곤하고 갑자기 양쪽 볼에 붉은 나비 모양 발진이 생겼다면 피부 질환이 아닌 희귀질환 루푸스일 수 있다.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류마티스내과 정성수 교수와 함께 루푸스에 대해 알아본다. Q. 루푸스는 어

인터뷰 이현이 기자 2024-07-22 10:33

구내염인 줄 알았는데 ‘설암’?... 치료 시기 놓치면 완치율 ↓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혀에 생기는 설암은 30세 이전의 연령대에서도 드물지 않게 발생하지만, 구강 내 궤양으로 착각하기 쉬워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혀의 궤양이 3주 이상 지속되거나 커지면 설암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다. 혀는 음식의 맛과 온도

건강정보 이예숙 기자 2024-07-22 10:10

“임신·출산도 때가 있다”... 최적기는 언제?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임신에도 때가 있었다. 건강한 임신과 출산에는 자궁 내 환경에 직접 영향을 주는 여성의 ‘나이’가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30대 초반이 첫 아이를 낳는 가장 적정 시기라는 보고가 ‘대한산부인과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보다 나이가

뉴스 전훈아 기자 2024-07-22 09:17

열대야 속 ‘꿀잠’ 비법은?

무더운 여름밤, 숙면을 취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더운 여름 꿀잠 자는 방법을 알면, 시원하고 편안하게 잠들 수 있다. 

카드뉴스 이예숙 기자 2024-07-22 09:01

방사선 촬영, 자주 검사해도 괜찮을까?

▲ 녹색병원 영상의학과 송재용 방사선사영상의학과에서 검사를 할 때 ‘혹시나 검사하는 과정이 위험하지 않을까?’, ‘왜 숨을 참아야 할까?’, ‘이렇게 많이 검사해도 되는 걸까?’와 같은 궁금증이 생길 수 있다. 방사선 검사에 대한 궁금한 점을 녹색병원 영상의학

인터뷰 이현이 기자 2024-07-19 14:21

[칼럼]월경통, 기간·강도 심해진다면?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산부인과 정인철 교수 한 달에 한 번, 가임기 여성이라면 흔히 경험할 수 있는 월경통. 월경통은 자연스러운 증상이라고 생각해 버티거나 심할 때 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질환이 원인이 되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산부인

칼럼 이예숙 기자 2024-07-19 10:36

대웅바이오, 고지혈증 치료제 ‘이코사연질캡슐’ 출시

▲ 사진제공=대웅바이오대웅바이오는 오메가3 성분 중 하나인 '에이코사펜타에노산(Eicosapentaenoic acid, 이하 EPA)'를 고순도로 정제한 ‘이코사연질캡슐(성분명: 이코사펜트 에틸) 300mg’를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이코사연질캡슐의 주성분인 ‘이코사

뉴스 이현이 기자 2024-07-19 09:34

  • 106
  • 107
  • 108
  • 109
  • 110

최신기사

2025-11-14 11:29
뉴스

삼성서울병원, 심장성 쇼크 환자 대상 ‘임펠라’국내 최초 시술

2025-11-14 11:23
뉴스

단일공 로봇수술, 단일공 복강경 대비 대장암 환자 조기 회복에 효과적

2025-11-14 11:19
건강정보

독감은 독한 감기?... 단순 감기 아닌 ‘급성 호흡기 질환’

2025-11-14 11:10
뉴스

GC녹십자, 배리셀라주 2도즈 베트남 임상 3상 IND 신청

2025-11-14 11:08
뉴스

광동제약, '광동 경옥고' 30포 한정판 패키지 출시

전체기사인기기사

  • 1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허연 교수

  • 2

    [기자의 눈] 불안 해소제?... 둔갑된 전문의약품, 치명적 부작용 우려

  • 3

    [칼럼] 폐렴, 단순 감기인 줄 알았다가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 질환

  • 4

    [강직성척추염의 날] 움직일수록 통증 줄어... 젊은 층 위협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

  • 5

    [독자Q&A] 뇌졸중 예방은 어떻게 해야 할까?

  • 언론사소개
  • 기사제보
  • 문의하기
  • 언론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헬스위크 | 사업자명 : NGM내가미래다(주) | 등록번호 : 서울-자 60056 | 등록일 : 2020년 09월 01일
발행인 : 김덕진ㆍ편집인 : 이현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숙 | 발행일자 : 2020년 09월 1일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11길 7, C동 405, 406호 | 대표전화 : 02-6338-0338
헬스위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Healthweek.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