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코로나19 백신으로 인한 논란이 뜨겁다. 올해는 유독 백신 관련 이슈가 많았기에 또 ‘백신’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법도 하다. 9월, 10월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사용된 백신의 일부가 상온노출 돼 벌어진 혼란, 얼마 지
▲ 나혜정 한국아동발달마곡센터 대표2020년 상반기에 심리적인 부분을 강타한 신조어 중에 하나로 ‘코로나블루’가 있었다면 하반기에는 ‘코로나레드’(우울감이 쌓여 공포, 분노 등을 느끼는 증상)가 나타났고 지금은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으로 불안감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불
▲사진제공 = 경희궁전한의원현대인 중 겉으론 보통 체형 혹은 마른 체형으로 보이지만, 배에만 유독 살이 쪄 고민인 사람이 많다. 특히 젊은 여성들에게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데, 복부와 같이 특정 부위에 체지방이 집중됐거나, 체중보다 체질량지수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를
▲ 문정훈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푸드비즈니스랩 교수서울대학교 푸드비즈니스랩에서는 매년 말에 최근 수년간의 대한민국 국민들의 식품 구매 및 섭취 관련한 다양한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다음 해에 우리의 식생활이 어떻게 바뀌고, 또 무엇을 준비해야할 것인지에 대해 ‘
▲ 성형외과 전문의 장택진 원장지난번 칼럼에 이어 이번에는 하안검에 초점을 맞춰보기로 한다. 눈 밑은 상안검과 함께 나이가 들어가면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부위인 '하안검'.전형적으로 나이가 들면 눈 밑이 불룩 튀어나오면서 그 아래쪽으로는 꺼짐이 생긴다. 이는 노화와
▲ 김소정 더라스클리닉 대표원장요즘 같이 난방 열을 많은 쐬는 겨울에는 피부 관리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겨울에는 일조량이 감소하고 습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여기에 여름 못지않은 강한 자외선에 더불어 장기화 되고 있는 코로나 여파로 인해 마스크 착용까지 더해지면서 피부
▲ 김영훈 가톨릭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그 동안의 연구에 따르면 아빠와의 놀이나 상호작용은 아이의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좌뇌를 발달시킨다고 밝혀졌다.하지만 영유아기 때 아빠가 없었던 아이들은 수리능력이 떨어지고 성취동기도 낮았는데, 이처럼 아빠의 존재는 아이의 사회성 발달
▲ 김미양 한국분노조절교육협회 회장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각종 매스컴에서는 노인문제에 대하여 집중조명하고 국가는 1, 2, 3차에 걸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대책을 세우고 준비하고 있다. 그 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평균 수명의 증가와 출산율의 저하로
▲ 김태균 티케이(TK)정형외과 대표원장책이나 영화에서만 보던 평균 수명 100세의 시대가 점점 다가오고 있습니다.20세기 이후 의학의 놀라운 발전은 평균 수명을 급격히 증가시켰고 현재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약 82세(여자 85세, 남자 79세)로 보고 있습니다.그러나
▲ GS안과 김무연 대표원장나만을 위한 냉장고를 직접 짜맞추고, 내 피부에 맞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등 맞춤형 서비스가 늘고 있다. 유행에 휩쓸리지 않고 개인의 심리적 만족도를 먼저 생각하는 ‘가심비’가 높은 쪽을 선호하는 경향은 시력교정술도 예외는 아니다.의료기술도 혁
▲ 사진제공 = 경희궁전한의원한 달에 한 번 여성에게 찾아오는 생리는 그 자체로도 성가시고 번거로운 존재다. 여기에 생리통까지 겹치면 그 괴로움은 더욱 커진다. 생리통은 생리와 연관되어 주기적으로 복부, 허리 등 골반 주위에서 나타나는 통증을 의미하는데, 가임기 여성의
▲ 김경수 열린사랑의원 원장2016년 옥스퍼드대학 글리코포럼에서 당생물학자인 린다 바움과 로버트 할티앵거 박사는 ‘우리는 왜 당생물학을 사랑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이렇게 대답했다. “당생물학의 놀라운 면 중에서도 단연코 우리가 이 분야를 사랑하는 이유가 있다. 그
▲ 박정수 헬스 트레이너날씬한 몸매, 건강한 신체는 남녀노소 성별, 나이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이 추구하는 것이다. 체중을 감량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그 중 섭취하는 칼로리와 소비하는 칼로리를 기준으로 체중을 조절하는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칼로리는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
▲ 김미양 한국분노조절교육협회 회장이런 속담이 있다. ‘주는 것 없이 미운 놈이 있다고....’ 이렇게 쓰고 보니 ‘놈’이 뭐야? 하실 분이 있으실 것 같아 우려도 되지만 ‘분’이라고 하면 그 뜻이 반감되는 것 같아 그냥 사용하고자 하니 양해하여 주시기를 먼저 청해 본
▲ 나혜정 한국아동발달마곡센터 대표2020년 1월부터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바이러스는 우리 인간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이 바이러스는 치열하게 지속성을 띄고 진화를 거듭하고 같이 존재하면서 번식하고 과도하게 위험한 수위를 넘나들며 우리의 일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