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관절염, 수술만이 답일까?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등산, 자전거 타기, 나들이 등 야외활동이나 운동을 즐기기에 제격인 계절이다. 하지만 일교차가 커지면서 무릎 통증이 심해질 수 있는데, 이는 기온이 낮아지면서 혈관 수축으로 혈액순환 장애가 생길 수 있고 근육과 인대가 경직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통증은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사라지지만 통증이 지속된다면 관절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무릎 관절을 감싸고 있는 연골이 마모돼 뼈가 부딪혀 염증이 발생하고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퇴행성 관절염은 발병 원인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을 구분한다. 일차성은 노화와 연골의 퇴화에 의한 것으로, 주로 여성에게서 나타난다. 반면 이차성은 비교적 젊은 남성에게서 발병률이 높은데, 감염이나 외상, 골절, 인대 손상 등 질병이 원인이 되는 관절염이다.

가장 초기에는 무릎 주위의 통증이 나타난다. 병이 진행되면 움직임 여부에 관계없이 통증이 지속된다. 또 무릎을 움직일 때 동통이나 마찰음이 나타날 수 있고, 무릎 주위에 압통이 느껴질 수 있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그렇다면, 퇴행성 관절염은 반드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것일까? 대전을지대학교 정형외과 최원식 교수는 “수술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한다. 연골 손상 정도에 따라서 치료방법은 상이한데, 연골 손상이 초기 단계이며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통증을 완화하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존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보존적인 치료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이 있다.

다만 연골 손상이 진행돼 일상적인 생활이 힘들 정도로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인공관절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무릎 관절염은 생활습관 개선으로 예방할 수 있다. 쭈그려 앉는 자세, 계단이나 언덕을 오르는 과도한 운동 등은 관절에 무리가 되므로 피해야 한다. 또한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무릎 근력 운동을 통해 무릎 주변의 근력을 강화하거나 안장을 높여 자전거를 타는 것도 관절염 예방을 위한 좋은 운동법이 된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훈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