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한 겨울 ‘안구건조증’ 비상... 난방기기 사용도 한 몫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전국에 건조주의보와 건조 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안구건조증은 계절과 관계없이 언제나 발생할 수 있지만, 겨울이 되면 외부의 건조하고 찬바람뿐만 아니라 실내 난방기기 사용으로 인해 더욱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안구건조증은 포괄적으로 안구표면의 염증질환을 일컫는 진단명으로, 눈물의 절대적인 양이 부족하거나 눈물의 질이 좋지 않아 눈 표면에 오래 머무르지 못하고 빨리 증발해 버리면서 발생한다.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뻑뻑함, 이물감, 충혈, 눈시림 등이 있다. 흔하지만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하면 결막염이나 각막염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한 경우 시력이 저하되기도 한다.

특히 겨울철이 되면 실외에서는 건조한 날씨와 찬바람으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유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겨울철엔 실내에서 난방기기를 가동하는데 건조한 바람이 눈에 직접 들어오거나 바람이 실내 습도를 낮추기 때문에 안구건조증이 생기거나 악화될 수 있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안구건조증은 완치는 어려우나 증상을 호전시키고 염증반응을 가라앉히기 위한 여러 가지 치료법 중 본인의 눈 상태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게 되는데, 가장 보편적인 치료법은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인공눈물은 눈물의 부족한 성분과 양을 보완해 주는 원리로 보존제 첨가여부, 단일성분 여부, 인공눈물의 성분 및 농도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다. 보존제가 있는 인공눈물의 경우 미생물의 번식을 막아 오래 사용할 수 있지만, 장기간 사용하면 눈에 자극을 주고 각결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 시 보존제가 렌즈에 침착될 수 있어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안구건조증이 심한 경우 고농도의 인공눈물을 사용하거나 액체 상태의 인공눈물이 아닌 겔, 연고 타입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액체 상태의 인공눈물은 수시로 넣을 수 있지만 약효가 지속되는 시간이 길지 않으며, 겔이나 연고 타입의 인공눈물은 지속시간이 긴 대신 점안 후 시야가 뿌옇게 보일 수 있어 취침 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다면 가습기로 적정 실내 습도를 유지하거나 공기청정기로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컴퓨터나 책을 볼 때 중간중간 눈의 휴식을 취해주고 눈을 자주 깜빡이는 것이 좋으며, 온찜질을 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가습기에 사용되는 수돗물이 무균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각막에 바로 닿게 하는 것은 좋지 않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태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