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나트륨은 적게, 칼륨은 많이 먹는 식사가 여성의 골밀도 증강에 도움이 된다고 밝혀졌다. 흔히 나트륨은 혈압을 올리고, 칼륨은 혈압을 낮추는 미네랄로 알려졌는데, 뼈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대구가톨릭대학교 가정의학과 이건호 교수
▲ 사진제공=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김중선 교수와 세종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과 하진용 교수, 고려대 안암병원 차정준 교수 연구팀은 OCT(광간섭단층촬영) 영상 정보를 활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FFR(분획혈류예비력) 예측 기술을 개발했다고 8
▲ 사진제공=명지병원 명지병원이 지난 7일 오후 신속진단과 정밀수술의 기치를 내걸고 ‘전립선암·신장암센터’를 출범시켰다. 이와 함께 비뇨의학과 외래 확장 개소식도 가졌다.김현회 교수(센터장)가 이끄는 전립선암·신장암센터는 진료부터 검사까지 한 공간에서 하루 만
▲ 사진제공=웰스바이오 엑세스바이오의 자회사인 웰스바이오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유전자 진단 시약인 ‘careGENE™ SFTS Virus RT-PCR kit’의 국내 허가를 획득했다고 8일 밝혔다.‘careGENE™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쓰쓰가무시병이 알츠하이머병 치매 위험을 15%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쓰쓰가무시병에 걸린 적 있는 노인은 뇌졸중, 당뇨병, 중추 퇴행성 절환, 우울 장애 위험도 쓰쓰가무시병이 없었던 노인보다 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기현 심사위원
▲ 사진제공=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은 로타바이러스 백신 무료 예방접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지난 6일부터 생후 2~6개월까지의 영아를 대상으로 시작된 로타바이러스 무료 접종은 전국의 위탁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접종 가능하다. 백신은 로타릭스와 로타텍 등 두 가지
▲ 사진제공=전북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은 보건복지부가 실시하는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 사후보상 시범사업’ 대상에 선정, 중증소아 질환에 질 높은 의료를 제공하기 위한 진료 인프라 지원을 강화한다고 7일 밝혔다.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 사후보상 시범사업은 아
▲ 사진제공=일산백병원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이 초정밀 심장혈관조영 촬영 장비인 ‘아주리온(Philips Azurion 7B1212)’을 도입하고 지난 2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아주리온’은 심혈관 중재시술을 시행할 때 사용하는 심혈관 조영촬영 장비다.
▲ 사진제공=한국소비자원 ▲ 사진제공=한국소비자원 비대면 화상 수업 등이 늘면서 어린이의 헤드셋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한국소비자원이 온라인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 헤드셋 13개 제품에 대한 안전성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DEHP, DINP 등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함량이
▲ 사진제공=JW중외제약 JW중외제약은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성분명 에미시주맙)’의 경증 및 중등도 환자 대상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한 임상 3상 결과가 국제학술지 ‘란셋 헤마톨로지 2023(THE LANCET Hematology 2023)’ 온라인판에
▲ 사진제공=보라매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호흡기내과 이현우 교수와 영상의학과 진광남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광주과학기술원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AI 모델과 임상 변수를 기반으로, CXR을 활용해 ‘코로나 환자의 예후 예측 모델’을 개발‧검증했다. 이 연
▲ (좌측부터)박준용 교수, 송시영 교수, 이희승 교수, 한대훈 교수, 사진제공=세브란스병원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박준용·송시영·이희승, 간담췌외과 한대훈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 과정에서 제작한 간내 담관암 환자 오가노이드 모델로 유전자 변이에 따른 아형별
▲ (좌측부터)신경외과 박기수 교수, 신경과 강경훈 교수, 재활의학과 박은희 교수, 사진제공=칠곡경북대학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성인 수두증 클리닉 (Adult hydrocephalus clinic) 팀은 지난 2일 기준, 치료 가능한 치매로 알려져 있는 퇴행
▲ 사진제공=충남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은 2일 이비인후과와 산부인과의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개소식을 개최했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는 보호자나 개인 간병인이 상주하지 않고 전문 간호인력이 기본간호부터 환자치료에 필요한 전문적인 간호서비스까지 체계적으로
▲ 사진제공=세브란스병원 만성염증질환과 자가면역질환의 원인인 염증성 도움-T-17(T-helper-17, Th17) 세포가 조직 병변에서 병인성(pathogenic) 면역기능을 지속하는 기전이 규명됐다.연세대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이준용 교수 연구팀은 뉴욕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