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산부인과 최세경 교수 10월 10일은 임산부의 날이다. 임신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통해 저출산을 극복하고 임산부를 배려, 보호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제정됐다. 10월 10일은 풍요와 수확을 상징하는 10월과 임신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안과 김진하 교수 당뇨병은 미세혈관계에 병변을 일으키는 대사성 질환이다. 오랜 시간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신체에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실명을 일으킬 수도 있는 ‘당뇨망막병증’이다. 당뇨망막병증에 대해 순
뇌졸중은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혈관이 처지는 뇌출혈을 통틀어 일컫는 질환으로, 최근 국립중앙의료원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국내 뇌졸중 환자가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은 암 다음으로 흔한 사망 원인인 만큼 의심 증상과 대처법을 미리 숙지해야 나와 주변인들의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전윤홍 교수 알레르기 질환을 겪는 사람은 굉장히 괴롭고 힘들지만, 오히려 유난 떤다는 핀잔을 듣기 일쑤다. 꽃가루나 집먼지진드기, 동물 털 등이 일반인들에게는 아무렇지도 않은 물질이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이럴진대 하물며
일교차가 커지면서 건조하고 찬바람이 안구를 자극하는 가을철,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눈물이 흐르는 증상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어난다. 이 시기에 평소보다 눈물이 많이 흐르거나 불편감이 느껴진다면 눈물흘림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에 명지병원 안과 김계중 교수와 함께 눈물
▲ 세란병원 내과 최혁수 과장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는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질환이며, 생활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한다. 세란병원 내과 최혁수 과장에게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에 대해 물어봤다.Q. 위식도역류질환이란?A. 서구화된 식습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이비인후과 박기남 교수 #40대 직장인 장모 씨는 최근 목에 통증과 이물감이 느껴져 이비인후과를 찾았다. 조직검사를 받은 결과, 두경부암 중에서도 ‘구인두암’으로 진단돼 수술을 받았다. 가벼운 통증임에도 놓치지 않고 검사를 받은 덕분에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피부과 김혜성 교수 쾌청하고 선선한 가을 날씨를 느낄 수 있는 요즘이다. 하지만 이런 가을에 반갑지 않은 불청객이 있다. 바로 ‘가려움증’이다. 한결 건조해진 공기로 인해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었다.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피부과
아침에 눈 뜨자마자, 밥 먹을 때, 하물며 친구나 가족과 얘기를 나누면서도 스마트폰이 손에 들려있다. 스마트폰은 일상생활에 필수 아이템이 됐지만, 안구건조증과 거북목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이고,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는 근시 진행을 유발하게 된다. 여기에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경외과 김종태 교수 목 디스크는 매년 100만 명이 병원을 찾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지난해에도 99만여 명이 목디스크로 진료를 받았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에는 100만 명을 넘기도 했다.목 디스크는 목뼈(경추)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조은 교수 공황발작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공황장애 환자들의 임상특징을 분석한 한 연구에 따르면, 절반 이상의 환자에서 ‘심장이 빨리 뛴다’, ‘심장이 아프다’, ‘심장이 조인다’와 같은 순환기 증상과 ‘숨이 안 쉬어진다’, ‘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심장내과 최형오 교수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지 않는 부정맥은 돌연사와 뇌졸중의 주범이다. 부정맥의 증상은 그 종류와 중증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만약 악성 부정맥이 발생하면 심장마비로 급사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정맥으로 의심되는 증
▲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재활의학과 정수진 교수 코로나19 재유행 우려에도 불구하고 해외여행객이 꾸준히 늘고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내국인 출국자 수는 올해 1분기 40만 5659명에서 2분기 94만 3989명으로 133% 증가했다
▲ 경희대학교병원 신경과 유달라 교수 추석 명절 반갑게 맞아주시는 부모님의 움직임이 이전과 달리 느려지거나 중심 잡기 어려워하는 행동의 변화를 보인다면 파킨슨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경희대학교병원 신경과 유달라 교수와 함께 치매 다음으로 흔한 대표적 퇴행성 뇌
▲ 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소윤수 교수 명절 때 고향을 찾아 오랜만에 부모님과 함께 지내다 보면 이전보다 보행속도가 느리거나 물건을 드는 것, 식사, 목욕, 청소와 같은 일상생활도 힘들어하는 것을 보게 된다. 누구든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근육감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