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화한 날씨로 나들이와 생활스포츠 활동률이 늘어나는 가운데, 부상 위험도 높아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무릎 부상을 주의해야 하는데, 과도하게 움직이거나 부딪히면서 전방 십자인대가 손상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전방 십자인대는 무릎 관절 안에 위치한 인대로, 허벅지 뼈와 정강이뼈를 잡아줘 무릎 관절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문제는 전반 십자인대에 손상이 누적될 경우 인대가 끊어져 파열될 수 있다는 점.
전방 십자인대 파열은 ‘퍽’ 또는 ‘뚝’하는 파열음이 나기도 한다. 파열 시 무릎 관절 안에 피가 고이기 시작해 붓고 통증이 발생한다. 또 부상 직후에는 무릎을 구부리기 힘들고 발을 딛기 어렵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반월상 연골 파열이나 퇴행성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무엇보다 스스로 치유되지 않아 방치할 경우 2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무릎 통증이 느껴진다면 의료기관을 찾아 손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전방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자연 치유가 어려워 정확한 진단 후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경미한 파열만 발생한 경우 물리치료, 약물치료, 냉각, 압박 등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절반 이상 파열됐거나 조직이 완전히 끊어진 상태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수술은 2~4mm의 초소형 카메라가 달린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파열된 인대를 제거하고 자가건 또는 타가건을 이식하는 것이다. 이때 관절내시경으로 내부를 직접 관찰하면서 병변을 치료해 미세한 손상까지 환인 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잔여 자가 조직으르 최대한 보존하는데 도움을 주며 신경과 혈관 손상을 최소화해 빠른 괴복을 기대할 수 있다.
바른본병원 하해찬 원장은 “전방 십자인대는 관절 내에 있는 인대이므로 정확한 위치에 재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움직이면서 충돌되지 않도록 구부리고 펴는 운동이 정상 범위까지 모두 편하게 이뤄지도록 정확한 터널 위치에 재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방 십자인대 파열은 수술만큼이나 재활이 중요하다. 같은 수술이라고 수술 후 환자의 근력 상태나 수술 경과, 회복 정도에 따라 재활운동 치료 과정이 다르므로,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훈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