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 ‘뚝’... ‘요실금’에 대처하는 방법은?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요실금은 중년 이후의 활기찬 생활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누출되는 요실금은 위생은 물론 사회적인 문제까지 발생시키기도 한다.

강남베드로병원 산부인과 김원중 원장은 “요실금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삶의 질 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질환”이라며, “소변 누출로 인한 냄새, 패드 혹은 기저귀 착용으로 인한 신체 활동 제한으로 우울, 불안, 수면장애와 같은 정서적•사회적 문제를 만들어 낼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요실금은 발생하는 상황에 따라 몇 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은 복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그리고 복합성 요실금이다. 복압성 요실금은 재채기를 하거나 갑자기 크게 웃는 등 배에 힘이 확 들어갈 때 소변이 나오는 것이다.

절박성 요실금은 소변이 마려워 화장실로 가던 중, 화장실에 다 도착하지도 못했는데 오줌이 그냥 나와 버리는 것을 말한다. 즉, 정상적인 경우라면 요의를 느끼고 화장실에 가서 속옷을 내릴 때까지 오줌을 참을 수 있다. 절박성 요실금 환자들은 그것이 불가능 한 것이다. 이외에도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합쳐진 형태인 복합성 요실금이 있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요실금은 성별과 관계없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증가한다. 여성의 경우 출산을 했다면 요실금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아진다. 또한 비만일 경우 출산 유무와 관계없이 마른 여성에 비해 요실금 발생 위험이 두 배로 증가한다.

여성호르몬의 감소도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여성호르몬은 요도 주변 조직을 튼튼하게 해, 소변을 참는 힘을 강해지게 한다. 그러나 완경기 여성들의 경우 여성호르몬이 감소돼 소변을 참는 힘이 약해진다. 이에 따라 요실금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것이다.

요실금 진단은 문진을 통한 병력청취가 우선적으로 시행된다. 이후 신경 검사, 요실금 유발 검사, 골반 근육 검사, 소변 검사, 요속검사, 초음파검사, MRI 검사 등을 추가적으로 시행해 증상을 더욱 정밀하게 진단한다.

증상이 경미하다면 항콜린제와 알파아드레날린 작용제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케겔(Kegel) 운동이라고 잘 알려진 골반근육운동을 병행한다. 연구에 따르면 3~6개월 이상 꾸준히 시행한 환자들에게서 증상이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원중 원장은 “요실금은 약물과 수술법의 발달로 치료 성공률이 매우 높은 질환으로, 정확한 진단 하에 적합한 치료를 한다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면서 “증상이 나타난다면 불편함을 참지 말고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태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