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A씨는 유독 추위를 많이 타는 편이다. 최근에는 기온이 낮아져 추위는 느끼는 것은 당연하지만, 여기에 식욕도 떨어지고 몸이 붓는 것 같아 신경이 쓰였다. 급기야 얼마 전부터 몸이 무겁고 무기력한 느낌이 심해져 감기를 의심하고 가까운 병원을 찾았더니 갑상샘 기능 저하증 진단을 받았다.
갑상샘은 목 앞 쪽에 위치한 내분비 기관으로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갑상샘 자극 호르몬의 신호를 받아 갑상샘 호르몬을 생성한다. 갑상샘 호르몬은 우리 몸속 에너지를 교환하거나 이동하는 대사 작용의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갑상샘 호르몬이 부족해 말초 조직 대사가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갑상샘 자체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 일차성과 뇌하수체 이상으로 인한 이차성이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 환자의 대부분은 일차성이며, 이 중 70∼90%가 만성 자가면역성 갑상샘염이다. 이는 자가면역 반응이 갑상샘에 발생해 자가항체가 만들어져, 염증 세포가 갑상샘에 모여 갑상샘 세포가 점점 파괴되는 만성 염증 질환이다.

몸속 대사 기능이 저하되면 체온이 떨어져 추위를 심하게 타며 입맛이 없는 반면, 체중은 증가하거나 몸속에 여러 물질이 축적되면서 얼굴이 붓고 피부가 차고 건조한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피로, 무기력, 무관심 등 의욕상실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경우 결핍 정도 및 속도에 따라 증상이 나타나는데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 증상이 경미해 환자가 자각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며 부족한 갑상선 호르몬을 약물을 통해 보충하는 약물치료를 진행한다. 내분비내과 전문의 진단에 따라 대사 기능을 정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용량을 조절해 일정 기간 복용 후 혈액 검사를 통해 확인한다.
대동병원 내분비내과 이광재 과장은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경우 추운 겨울철에는 감기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 감기로 오해하고 치료를 제때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며, “가족력이 있거나 타인에 비해 추위를 많이 느끼고, 자주 무기력해진다면 내분비내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또한 “흔히 갑상샘 기능 이상으로 약물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한다고 오해하거나 장기간 복용하던 약을 임의로 중단하는 경우가 있다”며, “하지만 질병의 원인에 따라 완치가 가능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정기적인 검진과 꾸준한 치료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현이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