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정지 환자 중 생존율은 7.5%인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이 개최한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에서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급성심장정지는 급작스럽게 심장 활동이 심각하게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를 말한다. 2020년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정지 환자는 31,652명으로,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61.6명이었다.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은 남자에서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시·도별로는 제주에서 인구 10만 명당 98.0명으로 가장 높고, 세종이 33.7명으로 가장 낮았으며, 경기를 제외한 8개 도 지역이 1~8위를 차지했고, 수도권과 광역시, 세종 등이 9~17위에 분포했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병원을 방문해 의무기록조사까지 완료한 환자는 31,417명이었으며, 이 중 2,345명이 생존해 생존율은 7.5%였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2006년의 2.3%에 비해서는 개선된 수치이나, 2019년 8.7%보다 감소한 것이며, 시·도별로도 대체로 2019년에 비해서 생존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는 2020년 26.4%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국가 급성심장정지조사감시 자문위원회 위원장인 연세의대 정성필 교수는 “코로나19 유행으로 병원 밖에서 발생하는 급성심장정지 생존율이 감소했다는 결과가 여러 나라에서 보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염수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