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희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최한성 교수캠핑의 계절이 다가왔다. 무더위와 장마가 찾아오기 전 본격적인 야영 채비에 나서는 이들이 많다. 캠핑을 떠나기 전 겨우내 묵혀두었던 장비 점검이 필요한데, 이에 앞서 만일에 일어날 수 있는 상황별 응급상황 대처방법을 미리
▲ 의정부성모병원 김영훈 교수 다가오는 5월 5일은 101번째 어린이날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외부활동의 제한에서 완전히 풀려 오랜만에 아빠가 아이들과 감염의 위험 없이 같이 놀 수 있는 좋은 날이 될 것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아빠와 함께 하는 놀이는 어린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박중철 교수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당연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당연함이 강자의 일방적인 생각이거나, 약자가 수긍할 수 있는 수준 바깥이면 당연함은 공감이 아닌 폭력이 된다. 우리는 종종 상대와 내가 같은 눈높이에
▲ 평촌자생한의원 박경수 대표원장보양식의 황제라 불리는 장어는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 A·B 등이 풍부한데 이 외에 아연, 셀레늄과 같은 면역 증강 성분도 함유하고 있어 상처 회복에 도움을 준다. 한의학에서도 ‘면역기능 강화를 통해 결핵과 같은 만성적인 질환을
▲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소영 교수‘공황’의 영어단어 ‘Panic’은 그리스 신인 ‘판(Pan)’에서 유래됐다. 판은 평소에는 조용한 플루트연주로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다가 갑자기 괴성을 질러 사람들을 공포에 빠뜨렸다고 한다. 단어의 유래에서 나타
▲ 참진한의원 얼핏클리닉 신정민 원장 안면비대칭 교정 치료를 통해 통증과 기능 개선은 물론 여러 가지 미용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안면비대칭 교정을 함으로써 예뻐지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얼굴 크기와 윤곽의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안면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하직환 교수폐암은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암 사망률 부동의 1위를 차지한다. 2021년 국내 사망 원인 통계에서도 폐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인구 10만 명 당 36.8명으로 가장 높다. 반
▲ 경희대학교치과병원 보존과 김덕수 교수치과를 찾는 환자 대다수의 증상은 치아의 시림 혹은 시큰거림이다. 구강 내 모든 치아와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는 광범위한 증상으로 민감성 치아의 일상화된 표현이다. 민감성 치아는 원인과 치료 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원인을
▲ 오상신경외과 오민철 원장 자율신경실조증은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통증이나 여러 장기의 불편감 등이 주 증상입니다. 자율신경실조증 환자들을 진료하다 보면 한의원에서 침 치료나 한약을 복용했던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동양의 문화적인 특수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근본적
▲ 세란병원 신경과 손성연 과장손발저림은 손이나 발에 발생하는 저린 증상을 통칭한다. 환자들은 주로 ‘화끈거린다, 마취된 것 같다, 먹먹하다’와 같이 다양하게 증상을 표현한다. 손발의 저릿함을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도 있지만, 오래 방치하게 되면 통증이 더욱
▲ 대전자생한방병원 김창연 병원장전국 비 소식과 함께 꽃샘추위가 예상되고 있다. 주말까지 기온이 떨어져 최저 기온이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곳도 많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어졌던 완연한 봄 날씨 탓에 겨울옷을 모두 정리해 어떤 옷을 입고 외출해야 할지 고민
▲ 참진한의원 얼핏클리닉 신정민 원장 비염은 알레르기 비염과 구조적 비염으로 나뉘는데, 그 중 구조적 비염은 비중격만곡증이 주된 원인이 된다. 비중격은 비강을 좌우로 나누는 칸막이벽으로, 연골과 골판으로 구성되며 콧등과 코끝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것이 S나
▲ 중앙대학교광명병원 신경외과 유희준 교수지난 2월, LA올림픽 여자농구 은메달리스트 출신의 농구선수 김영희 씨의 별세 소식이 전해진 바 있다. 김영희 씨는 뇌하수체 종양으로 인한 성장호르몬의 과도한 분비 때문에 신체와 장기가 커지는 말단비대증 진단을 받고 3
▲ 리에스여성의원 정창원 대표원장요즘 인기 웹툰의 원조작가라 할 수 있는 강풀 작가의 ‘그대를 사랑합니다’를 보고서 펑펑 울었던 기억이 난다. 인생의 힘든 역경을 지내온 노인분들이 새로운 사랑을 찾아가는 과정이 너무 감동적이었다. 강풀 작가도 지적했듯이, 우리는 노년층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김우정 교수임신은 여성에게 가장 많은 신체 변화를 가져오는 시기다. 임신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과정부터 출산 후까지 신경 써야 하는 부분들이 많다.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위해 반드시 확인하고 점검해야 하는 부분이 바로 ‘산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