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 관절 통증 및 중장년 이후 호발한다는 특성 탓에 오십견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지만, 통증 및 치료법이 전혀 다른 질환이다. 생활 속 무리한 동작 반복 등으로 인한 염증과 손상이 주 원인이 되는 증상인 만큼 제대로 된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깨충돌증후군은 팔과 어깨 사이의 관절이 충돌해 생기는 질환이다. 팔을 위아래로 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과도하게 반복하면, 상완골 대결절과 견갑골 견봉이 부딪힐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때 관절 사이에 끼인 회전근개의 힘줄 및 견봉하 점액낭에 염증 및 손상이 생기면 어깨 관절의 바깥쪽 및 삼각근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팔을 움직이거나 들어 올릴 때 뜨끔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팔을 전방으로 들거나 밖으로 뻗을 때도 통증이 심해진다. 누워있는 자세에서 통증을 느끼거나 야간통을 느끼기도 하고, 어깨 관절에서 ‘뚜둑’거리는 염발음이 들리기도 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주로 팔을 위로 반복해 들어 올리는 동작, 어깨 근육 불균형, 퇴행성 변화로 인한 견봉하 골극 형성, 외상 등의 이유로 발생한다. 예로, 수영이나 배드민턴, 야구 등 팔을 위아래로 반복해 움직이는 운동을 무리해서 할 경우 관절의 기계적 충돌을 발생시키기 쉽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초기 통증이 심하지 않은 편이지만, 일종의 염증성 질환인데다 생활 속에서 어깨와 팔의 사용을 줄이기 힘든 이유로 자연 치유 역시 기대하기 어렵다. 이를 가볍게 여기고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자칫 회전근개의 손상 및 파열로 이어질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치료는 주로 소염제를 활용한 약물치료,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요법 등 보존적 치료로 이뤄진다. 견갑골 주변 근육 운동 및 관절 가동범위 회복을 위한 도수치료 등 운동요법도 함께 필요하다. 증상이 조금 더 심한 경우에는 초음파 유도하 견봉하 점액낭 주사 치료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를 4~6개월 이상 진행함에도 불구하고 호전이 되지 않거나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경우 등에는 관절경 수술을 통해 견봉 성형술 및 견봉하 점액낭 절제술 등이 고려된다.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치료 및 수술 후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바른 자세 유지는 물론 견갑골 주변 근육 운동, 관절가동 범위 회복을 위한 스트레칭 등도 함께 병행하는 것이 좋다.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김태정 과장은 “치료 후에도 팔을 반복해 들어 올리는 원인 활동을 지속하면 재발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식적으로 이를 주의하고, 생활습관을 고치를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태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