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 단골손님 ‘결막염’, 치료만큼 예방 중요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봄이 성큼 다가와 전국적으로 봄꽃 축제가 한창이다. 그러나 봄꽃을 즐기는 설렘도 잠시,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에는 건조하고 일교차가 커 각종 질병에 취약한 시기이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건조한 날씨와 함께 꽃가루나 미세먼지로 인해 알레르기 결막염이, 안구건조증 등이 유발될 수 있어, 눈 건강에 주의를 가져야 한다. 그중 결막염은 환절기 발생 빈도가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

결막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흰 부분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점막으로, 눈꺼풀 아래에 있고 안구의 앞부분에 위치한다. 이 부위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결막염이라고 하며, 세균감염, 화학적 화상, 기계적 화상, 알레르기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결막은 안구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자연 방어 기전을 가지고 있어, 미생물에 의해 감염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이런 방어 기전의 균형이 깨지거나 면역이 악화된 경우 감염성 결막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

환절기에 흔히 발생하는 결막염은 바로 알레르기 결막염이다. 눈꺼풀의 가려움, 결막의 출혈, 눈의 화끈거림을 동반한 통증, 눈물흘림, 결막이 부어오르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평소와 다르게 눈이 가렵다거나 눈곱이 많이 생긴다면 알레르기 결막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알레르기의 원인은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동물의 털, 담배 연기, 곰팡이, 음식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찬 공기나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 먼지 등이 영향을 줄 수 있다. 알레르기 결막염은 이러한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눈의 결막에 접촉해 결막에 알레르기성 염증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알레르기 결막염은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력에 영향을 미치거나 전염되지는 않지만, 정확한 항원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면 치료에 중점을 둬야 한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환절기에 기승을 부리는 또 다른 안질환은 유행성 각결막염이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알레르기 결막염과 다르게 전염성이 아주 강한 특징이 있는데, 공기 중 전염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 눈의 분비물부터 손을 통해 전염된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데, 이는 열이나 소독약에도 잘 살균되지 않기 때문에 수영장이나 목욕탕에서도 쉽게 전염될 수 있다. 증상은 잠복기를 거쳐 감염 후 5~14일 사이에 나타난다. 잠복기 때문에 본인이 유행성 결막염에 걸렸는지 모르고 일상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아 눈 건강 상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초기증상은 눈이 충혈되고 가려움증과 약간의 통증이 있으며, 모래알이 들어간 것 같은 이물감이 느껴진다. 눈물과 눈곱이 많이 나오며 눈꺼풀이 심하게 붓는데, 이런 증상은 약 3~4주간 지속된다.

알레르기 결막이나 유행성 각결막염과 같은 안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눈을 비비지 않는 것이다. 눈을 비비게 되면 안구에 상처가 발생할 수 있고, 손의 세균이 함께 들어가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눈이 간지럽다거나 이물감이 느껴지면 흐르는 물에 눈을 세척해주고, 안구에 통증이 있을 경우 냉찜질로 완화해주는 것이 좋다.

개인 위생관리도 철저하게 해야 한다. 외출 후 귀가 시 옷을 잘 털고, 손과 발을 수시로 깨끗이 씻어야 한다. 주변에 안질환을 겪고 있는 사람이 있으면 접촉을 피하고, 수건, 베게, 비누, 세면시설 등을 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소 안질환을 자주 앓는 편이라면 콘택트렌즈보다는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낫다. 만약 안경을 착용하기 어렵다면 실외에서 콘택트렌즈를 빼거나 다시 착용하는 행동을 자제하고, 실내에 들어왔을 때는 반드시 세척해야 한다. 안질환이 생겼을 때는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각막에 상처나 염증이 있을 때는 콘택트렌즈 착용을 중지해야 한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태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