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과 더불어 3대 척추질환으로 꼽히는 척추전방전위증은 여성의 발생률이 남성의 약 2.6배 이상 높다. 척추전방전위증에 대해 바른세상병원 척추클리닉 이근호 원장과 함께 알아봤다.
Q. 척추전방전위증은 어떤 질환인가?
A. 위쪽 척추뼈가 아래쪽 척추뼈보다 앞으로 나오면서 변형된 척추질환으로, 주로 반본적인 외상과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에 의해 나타난다. 노화가 시작되는 40대부터 척추와 관절 주변 인대가 신축성을 잃게 되는데, 이로 인해 척추를 지지하는 힘이 약해지고 척추 불안정성이 증가돼 발생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Q. 특히 중년 여성들이 척추전방전위증에 취약한 이유는?
A. 50대 이후 연령에서 여성 환자가 많은데, 여성은 남성에 비해 근육량이 적고, 폐경기 이후 여성 호르몬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척추 주변 근육 및 인대가 약화돼 척추질환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이다.
Q.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
A. 척추뼈가 어긋날수록 통증이 심해진다. 위쪽 척추뼈가 밀려 나올 경우 비만이 아닌 사람이라도 배가 나와 보일 수 있고, 아래쪽 척추뼈가 밀려 나올 경우 엉덩이가 뒤로 빠져 오리걸음을 걷게 되는 특징이 있다.
Q. 어떻게 진단하나?
A. 엑스레이 검사만으로 척추뼈의 어긋난 정도를 비교적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단, 증상이 미세하거나 초기일 경우, 서 있는 상태와 허리를 앞으로 굽힌 상태로 찍어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Q. 치료 방법은?
A. 뼈의 어긋난 정도가 적은 질환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를 진행하면서 평소 오래 서 있는 자세, 장시간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고 있는 자세 등 증상을 유발하는 행동을 피하는 것으로 통증을 완화시키고 질환의 악화를 막을 수 있다.
초기 치료 시기를 놓쳤거나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라면 경막외 신경감압술 등의 시술로 치료할 수 있다. 해당 시술은 꼬리뼈에 2mm 두께의 특수한 관을 넣어 척추 신경을 둘러싼 경막 바깥 공간을 타고 올라가 염증 부위를 직접 보면서 치료하는 치료법이다.
만약 이러한 시술에도 효과가 없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라면, 나사를 이용해 어긋난 척추뼈를 정상적인 위치로 고정하는 척추유합술을 통해 치료해야 한다.
Q. 예방을 위해서는?
A.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가벼운 운동과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하다. 특히 척추질환에 취약한 갱년기 이후 여성이라면 바른 자세로 걷기, 수용 등으로 척추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좋다.
Q. 척추전방전위증 환자에게 당부할 말은?
A. 척추전방전위증은 조기에 진단할 경우 보존적 치료로도 통증을 완화하고 질환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치료 시기를 놓쳤거나, 척추뼈가 심하게 어긋난 경우라면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증상을 방치하면 극심한 통증은 물론 하반신 마비까지 올 수 있어, 해당 질환이 의심된다면 척추 전문의에게 조기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예숙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