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키 크고 싶어”... ‘저신장’ 벗어나기 프로젝트! [가정의달 특집③]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또래에 비해 작은 키는 아이와 부모 모두에게 깊은 고민거리가 아닐 수 없다.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길 바라는 희망은 모든 부모가 같을 터. 다만, 작은 키가 어떠한 질병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우려도 함께 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저신장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2021년 기준 최근 5년간 50% 가까이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5세 이상 10세 미만이 49%로 가장 많고, 10세 이상 15세 미만이 37%로 뒤를 이었다.

저신장은 동일 연령, 동일 성별에서 평균 신장보다 3백 분위 수 미만에 속하는 경우인데, 100명 중 3명 이내로 키가 작은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표준키에 비해 10cm 이상 작거나 3~10세의 어린이가 1년에 4cm 미만으로 자라면 저신장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임인석 명예원장(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은 “저신장은 특별한 질병 없이 부모 키가 작거나 체질적으로 사춘기가 늦게 오는 사례가 대부분”이라면서도 “성장호르몬 결핍, 염색체나 골격계 이상 등 다양한 원인 질환이 의심될 때는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저신장이 의심되면 신체 계측과 사춘기 발현 정도, 부모의 키, 성장패턴을 파악해야 한다. X-ray 검사로 골연령을 측정하며 전신질환 유무 확인을 위해 혈액검사, 소변검사도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 염색체 검사, 특정 질환 유전자 검사, 성장호르몬 유발 검사, 뇌 MRI 등이 병행되기도 한다.

저신장의 일반적인 치료법은 성장호르몬 투약 주사 치료이다. 성장호르몬 치료는 보통 주6~7회씩 수면 전에 자가 주사하는데, 1~3개월에 1회 병원을 방문해 경과를 살핀다. 병적 원인이 있다면 만2세부터 치료를 시행하고 성장판이 닫힐 때까지 투약한다. 성장판이 닫히면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어 가급적 조기에 시작하는 것이 좋다. 골연령이 어릴수록, 치료기간은 길수록, 치료 시작 때 키와 부모 중간키가 클수록, 치료 첫해 성장 속도가 빠를수록 효과는 높다.

성장호르몬 주사치료는 비용 부담이 큰 것이 단점인데 성장호르몬 결핍 같은 병적 저신장이 확인되면 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다. 그 외 염색체 이상에 의한 터너증후군과 프레더윌리 증후군, 누난 증후군 및 임신기간에 비해 작게 태어난 부당경량아, 만성신부전도 보험 혜택이 가능하다.

보험 급여는 골연령이 여자 14~15세, 남자 15~16세가 기준이며, 키는 여자 153cm, 남자 165cm가 될 때까지 적용된다. 원인 질병이 없는 특발성 저신장은 성장호르몬 치료가 효과적이지만, 건강보험 적용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의 상담 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아이들 키 성장을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습관이 필요한데 수면은 키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토닌은 성장호르몬 생산량과 반응성을 높여 키 성장을 돕는다. 수면 조절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뇌 중앙에 위치한 송과선에서 분비, 빛 감지와 생체리듬을 조절한다. 멜라토닌은 빛을 받으면 억제돼 잠에서 깨고 어두우면 분비가 촉진돼 잠이 들게 된다.

그러므로 낮에는 활발한 야외활동으로 햇볕을 쬐고 잠잘 때는 커튼을 쳐서 어두운 환경을 조성해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수면 전 TV 시청과 스마트폰 사용은 멜라토닌 생성을 억제해 가급적 자제해야 한다.

아울러 식생활 관리와 하루 30분 이상의 적절한 운동은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킨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의 5대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고, 키 성장에 좋은 운동으로 알려진 줄넘기, 농구는 골반과 무릎 성장판을 자극해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예숙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