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울증’ 투병 고백한 美 배우 셀레나 고메즈... 어떤 질환이기에?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미국의 유명 가수 겸 배우인 셀레나 고메즈가 조울증을 진단받고 투병했던 사실을 털어놨다. 고메즈는 “2020년 조울증을 진단받았다”며 “스스로 목숨을 끊을 생각까지 했다”고 밝혔다. 또한 “조울증약 복용으로 아이를 가질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조울증은 과도하게 예민하고 흥분한 상태인 ‘조증’과 침울한 기분인 ‘울증’이 반복되는 기분 장애로 ‘양극성장애’라고도 한다. 다만 감정 기복이 심하다고 해서 무조건 조울증은 아니며, 심해지면 자살이나 범죄로도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조울증은 조증과 울증이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만큼 조증과 울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조증의 증상
·수면욕이 줄어 3시간 정도만 자더라도 쌩쌩하다
·평소보다 말이 많고 수다스럽다
·사소하거나 부적절한 자극에 주의를 빼앗기는 등 산만하다
·충동적 활동에 몰두한다
·지나칠 정도로 자신을 소중히 여기거나 당당함을 내세운다

▶울증의 증상
·대부분의 시간이 우울하다
·거의 매일 잠이 오지 않거나 잠이 과도하게 많아졌다
·정신활동이 예민하거나 둔하다
·자신이 하찮은 존재라는 생각한다
·집중력이 없고 우유부단하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조울증 치료는 ‘꾸준함’이 중요하다. 조증과 울증 모두 기분이 안정되도록 약물치료가 우선시 되는데, 재발을 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조울증은 한번 재발하면 재발률이 극대화돼 초기 치료 및 지속적인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대부분의 조울증은 약물치료를 통해 완치 또는 재발 방지가 가능하다. 다만 임신 중 특정 양극성 약물을 복용하는 것은 선천적 결함의 위험 증가를 초래한다. 잠재적인 위험으로는 신경관과 심장 결함, 발달 지연 또는 신경 행동 문제가 있다.

갈수록 심해지는 경쟁 사회, 각박 해져가는 인간관계 속에서 피할 수 없는 현대인의 병으로 다가오는 조울증. 치료를 통해 충분히 조절이 가능한 만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건강을 되찾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예숙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