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하면 대표적 갱년기 증상인 안면홍조 및 야간발한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특히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을수록 더욱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정상 체중과 대사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갱년기 증상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데이터관리센터 류승호·장유수 교수 연구팀은 2014년~2018년 사이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를 방문한 42~52세의 폐경 전 갱년기 여성 4,600여 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먼저 비만을 나타내는 수치 중 하나인 체지방률에 따라 그룹을 분류했다. 그 결과 ▲정상 체지방률(<25%)에 비해 ▲경도비만(30~34.9%)의 경우 갱년기 증상이 1.42배 증가, ▲중등도 비만 (≥35%)의 경우 갱년기 증상이 1.6배가 증가했다.
이어 연구팀은 혈압과 혈당 등 대사질환 지표 동반 여부에 따라 체지방률에 따른 비만의 영향을 나눠 비교했다.
비교 분석에 따르면, 대사적으로 건강한 경우, 정상 체지방률에 비해 체지방 중등도 비만(≥35%)의 경우 1.34배 갱년기 증상 발생 위험이 증가했으며,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경우, 정상 체지방률에 비해 체지방 중등도 비만 (≥35%)의 경우 3.61배 갱년기 증상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
이 결과를 통해 체지방률과 대사적 건강수준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으며, 체지방 비만과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상태가 동반되었을 때 대표적 갱년기 증상인 혈관운동 증상(안면홍조 및 야간발한) 발생이 훨씬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북삼성병원 데이터관리센터 류승호 교수는 “그동안 갱년기 여성의 비만과 갱년기 증상 간의 관련성을 본 연구는 있으나, 대사질환을 동반한 비만이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는 최초”라며 본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강북삼성병원 데이터관리센터 장유수 교수는 “폐경 전 여성은 갱년기 증상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와 갱년기 증상의 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환으로의 발전을 예방하기 위해 정상 체지방률을 유지하고, 대사적으로 도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수원에서 갱년기 여성 만성질환 위험요인 규명을 위한 전향적 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지원받아 수행되었으며, 국제 전문 학술지인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 Gynaecology (IF= 6.531)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예숙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