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2022년 2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발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의 5가 넘는 수치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우울위험군은 16.9%로 코로나19 실태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로 점차 안정화되는 추세이나, 3.2%였던 2019년의 5배가 넘는 수치로 여전히 높고 위험한 수준이다.
연령별로는 지속적으로 30대가 24.2%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40대와 50대는 각각 17.0%, 16.0%였다. 또 20대는 14.3%, 60대는 13.0%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18.6%로 15.3%인 남성보다 3.3% 더 높았다.
특히 1인 가구의 우울위험군이 23.2%로 2인 이상으로 이뤄진 가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상태별로는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20.6%로 기혼에 비해 6%p 가량 높았다.
경제적인 문제와 정신건강의 상관관계도 보여줬다. 소득이 감소한 경우 우울위험군이 22.1%로 소득이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집단에 비해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우울위험군과 연관이 있는 자살생각률은 지난 1분기에 비해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초기에 비해 여전히 높고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과 비교해도 3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정신건강정책관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처음 실시한 조사에서 우울, 불안 등 전반적인 정신건강 지표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난 것은 의미있는 일이지만, 자살생각률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크게 우려되는 상황”이라면서 “코로나19 기간 동안 누적된 경제, 정신, 신체 건강문제가 일상회복시기 자살 위기로 분출될 가능성에 대비하고, 국민 누구나 도움이 필요할 때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태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