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메뉴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UPDATA : 2025년 07월 12일
  • 전체기사
  • 헬스위크TV
  • 뉴스
  • 건강정보
  • 인터뷰
  • 칼럼
  • 독자Q&A
  • 카드뉴스
  • 멘토클럽
  • HOME
  • 전체기사

전체기사

서울대병원, 3천 명 전립선비대증 환자 홀렙수술 성과 발표... “안전성·효과 입증”

▲ 사진제공=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연구팀이 지난 15년 동안 3,000명의 전립선비대증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홀뮴레이저 전립선종적출술(HoLEP, 홀렙수술)의 성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단일기관으로서는 전 세계 최대 규모로 진행됐으며, 수술 후 6개월간의

뉴스 전훈아 기자 2024-09-04 17:14

탈모, 피할 수 없지만 늦출 수는 있다

▲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권오상 교수‘탈모의 계절’ 가을이 오고 있다.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심리적 고통을 줄 수 있는 탈모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권오상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Q. 탈모란?A.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

인터뷰 이현이 기자 2024-09-04 10:24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박효송 교수

※전문분야: 망막질환, 황반질환, 당뇨망막병증, 백내장, 포도막염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안과 교수▲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학사▲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통합박사 과정▲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인턴·전공의▲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강사·임상연구조교수▲순천향대학교 부천병

멘토클럽 김태형 기자 2024-09-04 09:57

명지병원, 탈모센터 개소... “맞춤형 솔루션 제공”

▲ 사진제공=명지병원 명지병원이 지난 3일 수도권 소재 종합병원에서는 처음으로 모발이식과 두피문신 등을 중심으로 탈모치료를 시행하는 모발센터 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모발센터 개소로 탈모의 근본 치료법인 모발이식부터 약물치료, 두피질환, 두피문신

뉴스 이예숙 기자 2024-09-04 09:50

포도막염, ‘시력 도둑’으로 불리는 이유 있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포도막염은 안구를 둘러싼 세 개의 막 중 중간에 위치한 포도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20~65세 연령층에서 발생,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거나 반복적으로 재발할 경우 서서히 시력을 잃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포도막

건강정보 전훈아 기자 2024-09-04 09:47

[건강물음표] 쉰 목소리, 원인은 '역류성 후두염'?

▲ 출처=게티이미지뱅크목이 쉬고 아픈 느낌이 들면 가장 먼저 감기를 의심한다. 감기는 대부분 일주일 정도 지속되고, 그 후로 자연치유된다. 만약 증상이 오랜 기간 지속된다면 다른 질환이 아닌지 정확한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쉰 목소리, 목 이물감, 마른 기침 등의 증상을

건강정보 이현주 기자 2024-09-03 16:22

한림대한강성심병원, ‘화상핫라인’ 구축... “24시간 응급콜 받아”

▲ 사진제공=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은 지난달 21일 산업현장 화재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화상핫라인(이하 화상핫라인)’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최근 아리셀 화재 등 산업현장 대형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뉴스 이현주 기자 2024-09-03 11:08

부천성모병원, 간병비 카드 결제 시스템 도입... “국내 대학병원 최초”

▲ 사진제공=부천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이 국내 대학병원 최초로 간병비를 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지난 1일부로 시행에 들어갔다.그동안 간병비는 현금으로만 결제할 수 있고, 영수증 발급이 불가하여 여러 면에서 환자 및 보호자에게 불편

뉴스 전훈아 기자 2024-09-03 10:56

우리 아이 ‘분노발작’에 어떻게 대처하면 될까?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아이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지 않을 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고 폭발적으로 표현한다면 ‘유아 분노발작’일 수 있다. 유아의 분노발작은 일반적으로 18개월에서 4세 사이에 발달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정상적인 행동으로, 아이가 자기 마

건강정보 김태형 기자 2024-09-03 10:40

안구건조증,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간 ‘각막궤양’에 ‘실명’까지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안구건조증은 눈물의 절대적인 양이 부족하거나 눈물의 질이 좋지 않아 눈 표면에 오래 머무르지 못하고 빨리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안구 표면의 염증 질환으로 충혈, 이물감, 번져 보임, 가려움 등이 증상으로 나타난다. 냉·난방기기 사용 증가,

건강정보 이현이 기자 2024-09-03 09:41

[칼럼]코로나19 재유행... 관심 가져야

▲ 인천세종병원 감염내과 홍진영 과장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변위(KP.3)가 유행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곧 지난해 최고 유행 수준으로 코로나19 확잔지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 코로나19 위기 단계는 가장 낮은

칼럼 이현주 기자 2024-09-03 09:29

[칼럼]뇌·심장 위협하는 ‘갑상선 질환’ 의심해봐야 하는 증상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조윤영 교수갑상선은 몸의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호르몬이 부족하거나 과다하게 분비되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나 항진증이 발생한다. 처음에는 경미한 증상으로 시작될 수 있지만, 치료하

칼럼 김태형 기자 2024-09-02 16:36

이제 갓 초등학생 됐는데... 성조숙증, 왜 생길까?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성조숙증이란 일반적인 또래 아이들보다 훨씬 빠른 나이에 사춘기가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아는 만 8세 이전에 유방이 발달하거나 월경이 시작되는 경우, 남아는 만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는 경우를 성조숙증으로 의심할 수 있다. 성조숙증

건강정보 이예숙 기자 2024-09-02 16:01

서울성모병원, 장내균총의 위암 항암 기전 첫 규명

▲ 사진제공=서울성모병원 위암 환자는 기능성 장내균총(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이 감소되어 있으며, 위암 아바타 동물모델 연구결과 장내균총이 항 종양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행성 위암이나 재발 위암 환자를 위한 새로운 면역항암 치료가 시도

뉴스 김태형 기자 2024-09-02 12:16

9월에 꼭 먹어야 하는 ‘제철 음식’

따사로운 햇살과 함께 쾌적하고 선선한 9월이 찾아왔다. 9월을 맞아 싱싱하고 맛있는 풍성한 제철 음식들의 각각의 효능을 알아보자. 

카드뉴스 이예숙 기자 2024-09-02 12:07

  • 71
  • 72
  • 73
  • 74
  • 75

최신기사

2025-07-11 14:55
멘토클럽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김지수 교수

2025-07-11 12:25
뉴스

유한양행, 식후 혈당과 체형 관리를 위한 ‘센스밸런스 다운핏’ 출시

2025-07-11 12:24
건강정보

조용한 살인마 ‘췌장암’, ‘이곳’ 통증 나타나면 검사 必

2025-07-10 10:52
칼럼

[칼럼] 폭염 속 암 환자의 건강관리

2025-07-10 10:35
건강정보

온열질환자 하루에 200명 넘어... 대처 방법은?

전체기사인기기사

  • 1

    시도 때도 없이 ‘뿡뿡’... 잦은 방귀, 왜 그럴까?

  • 2

    지독한 여름 만드는 ‘발냄새’, 어떻게 해결하나?

  • 3

    [칼럼] 현대인의 영원한 단짝 카페인,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영향은?

  • 4

    추간판 탈출증, 제대로 알아야 이겨낼 수 있어

  • 5

    강해지는 햇볕... ‘햇빛 알레르기’ 똑똑하게 대처하는 방법은?

  • 언론사소개
  • 기사제보
  • 문의하기
  • 언론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
  • 기사제보
  • 문의하기

제호 : 헬스위크 | 사업자명 : NGM내가미래다(주) | 등록번호 : 서울-자 60056 | 등록일 : 2020년 09월 01일
발행인 : 김덕진ㆍ편집인 : 이현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예숙 | 발행일자 : 2020년 09월 1일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11길 7, C동 405, 406호 | 대표전화 : 02-6338-0338
헬스위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Healthweek.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