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한 어지러움에 구토까지... ‘전정신경염’은 어떤 질환?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심현준 교수

전정신경염은 심한 어지러움으로 균형을 잃고 구토,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개그우먼 홍현희의 시매부이자, 유튜버인 천뚱(본명 임정수)이 최근 8개월 동안 활동을 하지 못한 이유로 전정신경염이 원인이었다고 밝혀 이 질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다소 생소한 전정신경염에 대해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심현준 교수와 함께 알아봤다.

Q. 전정신경염은 어떤 질환인가?
A. 사람의 귀 깊은 곳에는 몸의 자세를 느끼도록 하여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도와주는 평형 기관이 있다. 이 평형 기관의 전정과 반고리관으로부터 감각을 받아들이는 신경을 전정신경이라고 한다. 전정신경염은 바이러스 감염 등의 원인에 의해 전정신경에 염증이 발생해 심한 어지러움과 메스꺼움을 느끼고 균형잡기가 힘들어지는 질환이다.

Q.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

A. 전정신경염이 있으면, 갑자기 주변이 계속 빙빙 돌아가거나 물체가 흔들리는 듯한 심한 어지러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어지러움은 몇 분 만에 멈추지 않으며, 수 시간에서 수일 정도 지속된다. 심한 어지럼으로 제대로 걷기 힘들어지고 메스꺼움과 구토, 오한 등 가벼운 감기 증상을 동반한다. 이것은 마치 놀이동산에 있는 회전의자를 며칠간 계속 타고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이다. 이러한 증상 때문에 며칠 동안 누워 지내야 할 수도 있지만, 짧게는 며칠이 지나면 호전될 수도 있고 길게는 수 주에서 수개월간 어지럼이 지속되기도 한다.

Q. 진단은 어떻게 이뤄지나?
A. 전정신경염을 진단할 때는 심한 어지러움이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어지러움의 원인은 뇌졸중이나 뇌출혈 같은 뇌혈관 질환일 수도 있고, 메니에르병이나 만성 중이염과 같은 다른 이비인후과 질환일 수도 있다. 심한 어지러움이 수분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원인을 찾아야 한다.

발병 초기에는 눈의 움직임이 진단에 많이 이용된다. 말더듬, 안면 마비, 하지 마비 등과 같은 다른 신경 증상이 없는 전형적인 전정신경염은 자세한 진찰만으로도 뇌혈관 질환과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확실하게 감별할 수 없는 경우도 많아 뇌 MRI를 촬영하기도 하며, 회복기에도 어지러움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평형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Q. 치료 방법은?
A. 전정신경염에 대한 치료는 발병 초기 며칠 간의 급성기와 이후 서서히 호전되는 회복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급성기에는 어지러움, 메스꺼움, 구토가 심하므로 이러한 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진정제 등의 약물을 적극적으로 투여한다. 급성기가 지나 증상이 호전되기 시작하면, 가급적 진정제를 사용하지 않고 걷기와 요가 등 가벼운 신체활동을 권유한다.

그리고 전정재활운동은 적응훈련과 대치훈련으로 구분된다. 적응훈련은 볼펜 등 물체를 눈높이에 맞추고 상하좌우로 움직이며 바라보는 동작과 물체는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시선은 반대 방향으로 바라보는 동작이 있다.

대치훈련은 눈을 뜨고 감은 상태에서 고개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며 천천히 걷는 동작을 말한다. 단 이 과정에서 균형을 잃고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손을 뻗으면 잡을 수 있는 시설물이 가까운 곳에서 해야 안전하다.

증상이 나아지면서 신체활동을 빨리 시작하게 되면 몸의 평형 기능의 적응과 회복을 촉진하고 어지러움을 극복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필요 이상으로 오래 진정제를 투여하면 어지러움이 더 오래 이어질 수도 있고 회복기는 환자의 나이와 상태에 따라 최대 수주가 걸리기도 한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수개월 이상 어지러움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꾸준한 전정 재활 치료가 회복에 도움을 준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훈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