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퇴행성 질환을 앓는 이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흔히 디스크로 불리는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인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이 대표적이며, 허리 통증과 방사통, 심한 경우 보행 장애를 일으키는 등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은 발병 원인과 증상에 차이점이 있다. 추간판 탈출증은 퇴행성이긴 하나, 외상으로 인해 탈출된 추간판(디스크)의 수핵이 다리로 가는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한다. 20대 이상부터 나타나며, 허리를 굽힐 때 통증이 악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서 있거나 걷는게 더 편하고, 한쪽 다리에 당기는 증상이 있다. 또 앉으면 증상이 악화하고 누워서 다리 올리는 것이 어렵기도 하다.
반면 척추관 협착증은 50대 이상부터 주로 나타난다. 인대와 뼈, 관절 등 척추관 주위 구조물이 두꺼워지거나 자라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을 좁혀 신경을 자극하는 질환이다.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악화하고, 걸을 때 터질 듯한 통증이 발생한다. 다리가 차갑고 저리며, 쪼그려 앉으면 편하면서 다리를 올려도 통증 악화가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디스크 치료는 통증의 양상과 기간, 강도에 따라 약물치료, 비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로 구분한다.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신경외과 배인석 교수는 “대부분 약물치료와 비수술적 치료 등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면서도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대소변 장애 및 근력 저하가 동반된 경우라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단, 수술적 치료는 시기와 방법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명확한 진단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
추간판 탈출증과 척추관 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이긴 하나, 생활 습관을 통해 예방 및 완화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체중과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근력 강화 운동을 통해 근육과 인대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의자에 앉을 때는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넣어 허리를 세우며, 물건을 들 때는 무릎응ㄹ 굽혀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훈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