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말: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소영 교수
‘공황’의 영어단어 ‘Panic’은 그리스 신인 ‘판(Pan)’에서 유래됐다. 판은 평소에는 조용한 플루트연주로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다가 갑자기 괴성을 질러 사람들을 공포에 빠뜨렸다고 한다. 단어의 유래에서 나타나듯이 공황장애는 갑자기 극도의 불안감이 여러 신체 증상과 동반해 나타나는 질환이다. 최근에는 연예인들이 공황장애 때문에 과거에 힘들었던 경험, 이로 인해 활동을 중단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해 이 병이 무엇인지 전보다 널리 알려지게 됐고, 공황 증상을 경험한 이후에 정신건강의학과를 스스로 방문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렇다면 공황장애란 무엇일까. 또한, 이런 병을 겪게 되는 원인은 무엇일까. 공황장애가 찾아오면 모두 치료를 받아야만 하는 걸까. 치료를 통해서 완벽한 치유가 가능한 걸까. 먼저, 공황발작이란 ▲갑작스럽게 겪는 죽을 것 같은 공포감 ▲가슴의 답답함 ▲심장이 터질 듯한 두근거림 ▲식은땀 ▲어지러운 증세 ▲손발이 마비되는 느낌 ▲곧 쓰러질 것 같은 느낌 등 여러 가지 신체 증상과 불안이 동반되는 것을 말한다. 공황발작을 처음 겪는 경우뿐만 아니라 발작을 여러 차례 겪은 사람들도 이러한 증상을 겪게 되면 죽을 것 같은 불안감에 119에 신고하거나 응급실을 찾아가고는 한다.
응급실 혹은 내과 등 병원에서는 심장, 호흡기 질환 그리고 뇌 질환 등 여러 원인에 대해 검사하게 되는데, 대부분 검사상으로 몸에 문제가 없다는 설명을 듣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처방된 약을 잘 복용하고 증상이 가라앉았다면 신체적으로는 문제가 없으니 정신과를 가보는 것이 좋겠다는 권유를 듣기도 한다. 그러나 이에 안도감을 느끼기보다는 내가 이러다 미치는 것은 아닌가 등의 걱정이 찾아오기 일쑤다.
일상생활을 힘들게 하는 건 공황발작 외에도 공황발작이 또 언제, 갑자기 찾아올지 모른다는 불안감이다. 이러한 불안감으로 인해 공황발작을 겪었던 장소나 상황은 피하게 되고 그러한 장소를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식은땀이 나고 가슴이 답답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지하철, 버스 등 사람이 많은 대중교통 이용을 주저하거나, 쇼핑몰, 영화관 등 사람이 많거나 바로 빠져나오기 어려운 장소는 가지 않게 된다. 예기불안과 광장공포증이 일상생활을 제한되게 만드는 것이다. 공황발작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권유받고도 선뜻 내키지 않아 병원을 찾지 않는 사람들이 이러한 예기불안과 광장공포증의 지속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게 되면서 결국 정신건강의학과를 찾아오는 경우도 많이 있다.
공황발작은 1년 동안 미국의 성인 11%가 경험할 정도로 흔한 증상이고, 평균적으로 22~23세에 증상을 처음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꾸준히 공황장애가 증가하고 있는데, 건강보험 데이터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공황장애로 병원을 찾은 경우가 2014년도에 비교해 4년 뒤 70.5%가 증가했고, 20대의 공황장애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한번 공황발작을 경험으로 바로 공황장애 진단을 받고, 치료 받아야만 하는 걸까. 다행히 한 번 공황발작을 겪은 사람들이 모두 ‘공황장애’ 진단을 받게 되는 건 아니다. 공황장애는 ‘반복적’으로 ‘갑작스러운’ 공황 발작이 있는 경우에 내려지는 진단으로 한 번 이상의 공황 발작을 경험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더불어 공황발작 외에 예기불안 등으로 공황발작과 관련돼 일상생활에서 건강하지 못한 방향으로 행동이 바뀌게 되는 경우에 공황장애라는 진단을 내리게 된다.
그렇다면 공황발작이 왔을 때 병원에서 각종 검사를 하는 건 소위 ‘과잉 진료’일까. 그렇지 않다. 공황발작은 ▲갑상선항진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심장질환 ▲전정기관 부전증 ▲만성폐쇄성호흡기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기에 공황발작이 나타나면 그 원인에 대한 검사를 시행해서 신체적인 이상이 없는지는 확인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심장질환으로 인한 증상이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심전도검사는 응급실 내원 시 시행하게 된다.
공황발작은 겪는 많은 이들이 걱정하는 질문이 있다. ‘이러다가 자신이 미치는 건 아닌지’에 대한 물음이다. 그에 대한 대답은 ‘아니다’ 이다. 그리고 공황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인 우울증과 조울증 등으로 진행되는 건 아니라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공황장애가 지속되면서 우울증이 동반되는 경우는 자주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공황장애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러한 공황장애는 왜 오는 걸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원인은 ‘스트레스’다. 연예인들도 힘들었던 공황 증상의 경험이 감당하기 힘든 바쁜 일정 혹은 주변의 부담감 등과 같은 여러 스트레스 상황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우울할 이유가 하나도 없는데 우울증이 있다고 호소하는 이들과 마찬가지로 공황장애 또한 불안 요소가 없는데 일상적인 생활을 하는 중 갑자기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 신체적 피로도가 높은 상태 등에서 공황발작이 일어날 수는 있으나 공황장애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전에는 과거의 경험과 충격에서 공황발작의 원인을 찾고, 심리치료를 통해 공황장애를 치료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뇌의 기능에 그 원인이 있고, 이에 대한 약물적 치료가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 뇌의 기능에 이상이 생겼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공황발작에 관여하는 뇌의 기전이 알려지면서 공황장애의 치료도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 등 비약물적 치료 외에 약물치료도 가능하게 됐다. 공황장애의 약물치료로는 항불안제와 항우울제가 사용된다. 비약물적 치료도 상당히 효과가 있는데 특히 예기불안에 대처하고, 공황발작이 왔을 때 초기에 대응하기에는 호흡법과 인지치료가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증상이 자주 있거나, 불안으로 인해 영향을 많이 받는다면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어떻게 공황장애에 대처할 수 있을까. 그리고 내 주변에 공황발작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가 있다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인가. 먼저, 환자는 카페인과 술 등 공황발작과 유사한 신체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음식의 과도한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복식호흡과 근이완법을 평소에 익혀서 공황발작이 왔을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리고 후자의 위치라면 환자의 공황발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완화된다는 점을 공유하면서 과호흡하지 않도록 도와 주는 것이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공황장애는 힘겹고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는 병이다. 하지만, 완치가 불가한 병은 아니다. 예기불안과 맞서는 힘을 길러 나가면서 일상생활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 발자국씩 나가다 보면 공황장애라는 긴 터널에서 어느덧 빠져나와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태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