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은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뤄지지 않아 생기는 가슴 통증을 말한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근육이 필요로 하는 것보다 부족한 양의 산소가 심근에 공급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협심증은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 변이형 협심증으로 구분되는데,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원인도 달라진다.
안정형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만성적으로 좁아진 상태에서 발생하며, 운동을 하거나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 혹은 추운 날씨, 과식, 흡연 등이 유발 요인이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협착되거나 혈전이 좁아진 관상동맥을 막아 발생, 심근의 혈류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며 쉴 때도 증상이 나타난다.
변이형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경련에 의해 일시적으로 혈관이 좁아져서 발생한다. 보통 새벽이나 아침에 휴식을 취하는 도중에 증상이 발현된다.
종류와 원인이 다양한 만큼 증상 또한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 통증이나 가슴의 불편감이다. 대부분의 경우 가슴 통증은 가슴 중앙의 짓누르는 느낌이나 쥐어짜는 느낌이 들며, 어깨나 목, 턱, 팔, 등으로 퍼져나가는 느낌이 들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구역감이나 피로, 숨이 찬 느낌, 발한, 어지러움이 동반될 수 있다. 개인에 따라 복통을 느낄 수도 있다.
협심증은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특히 가장 위험한 합병증은 심근경색이다. 심근경색은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협심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증상의 문진과 함께 심전도 검사, 운동부하검사, 심초음파, 흉부 엑스레이, 혈액검사 등이 필요하다. 증상에 따라 관상동맥조영술과 CT 등의 검사가 이뤄지기도 하며, 약물치료와 시술 및 수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관리가 철저히 이뤄져야 하며, 비만하지 않도록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갖도록 해야 한다. 또 스트레스를 줄이고, 금연과 금주를 생활화하는 것이 도움된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현이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