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물과 코막힘 ‘부비동염’, 치료보다 중요한 ‘예방’은 어떻게?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흔히 축농증으로 알려진 부비동염은 상부 호흡기 감염증으로, 부비동 내부에 화농성 분비물이 고이면서 내부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부비동은 얼굴 뼈 안에 있는 빈 공간이며, 작은 구멍으로 연결된 콧구멍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고 분비물을 내보낸다. 부비동이 특정 원인에 의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화농성 분비물이 쌓여 염증이 발생한다.

부비동염은 주로 소아 및 아동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아 및 아동은 부비동이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고, 부비동의 배출구가 성인에 의해 상대적으로 넓어 코와 부비동이 마치 하나의 공간처럼 연결되어 있어서 감기에 의한 염증이 쉽게 부비동으로 퍼지기 때문이다.

부비동염은 증상의 발생 시점, 지속 시간 등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4주 이내는 급성 부비동염, 증상이 12주 이상 이어지는 경우는 만성 부비동염으로 구분되는데, 급성 부비동염은 콧물, 코막힘과 함께 두통, 미열, 안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 부비동염은 지속적인 누런 콧물에 코막힘, 코 뒤로 넘어가는 콧물(후비루)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부비동염을 제때 발견하지 못해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할 경우, 눈 주위 봉와직염, 경막외 농양 등 다양한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는 만큼 조기 진단을 통한 적기 치료에 신경 써야 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문진과 함께 비내시경 검사, 철조법(투시법), 조직 검사, CT 촬영 등의 방법이 있다. 철조법은 부비동에 빛을 강하게 비춰서 투과되는 광패턴을 육안으로 판별하는 방법이다.

만성화가 쉬운 부비동염은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예방을 위해서는 인플루엔자와 감기, 알레르기성 비염 등의 질환 감염에 유의하고, 평소 호흡기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우선, 외출 후 손발을 씻어 개인위생에 주의하고 실내 온·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게 좋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로 원활한 분비물 배출을 유도하고, 생리식염수로 하루 2~3회 코 내부를 세척하는 것도 세균성 감염 확률을 낮춰 부비동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발병 후에는 조기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가 제때 이뤄져야 한다. 치료는 급성과 만성 모두 항생제 중심의 약물치료가 기본이다. 급성은 항생제를 10~14일간 투여하면 중상이 개선되지만, 만성의 경우 항생제와 함께 다양한 약물치료가 필요하며, 심할 경우 수술까지 고려해야 한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현이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