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멍울 잡히는 '림프절 비대증'...원숭이두창의 신호?

▲ 세란병원 외과 정홍규 과장 
전 세계 70여 개국이 넘는 나라에서 원숭이두창 감염자가 1만 명에 육박하며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감염성 피부염인 원숭이두창은 몸에 멍울이 잡히는 ‘림프절 비대증’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림프절 비대증 증상에 대해서도 궁금증을 갖는 이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림프절 비대증은 원숭이두창 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세란병원 외과 정홍규 과장에게 림프절 비대증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물어봤다.

Q. 림프절은 무엇인가?
A. 림프절은 면역기관 가운데 하나로 면역작용을 하는 림프구를 생성해 몸에 침입한 유해균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림프관이라는 관과 연결돼 우리 몸 곳곳에 자리 잡고 있으며 주로 목과 가슴, 사타구니 등에 많이 모여 있다. 림프절의 개수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500~1000여 개가 몸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cm 정도의 둥근 조직으로 구성돼 있다.

Q. 림프절 비대증 의심 증상은?
A. 몸 상태에 이상이 없는 상태라면 체표면으로 림프절이 만져지지 않는다. 다만, 림프절이 많이 모여 있는 목 부위나 겨드랑이 밑, 가슴 부위에 동그랗게 생긴 멍울이 만져진다면 림프절이 커져서 발생하는 림프절 비대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멍울을 주변으로 압통이 느껴질 수 있으며 평소 충분히 쉬었음에도 피로감이 쉽게 풀리지 않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 얼굴과 손, 발 목에 순환장애가 발생해 자주 붓는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Q. 림프절 비대증 환자 비율은 어떻게 되나?
A.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림프절 비대증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수는 4만 800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5년 기록한 3만 3287명 보다 1만 명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성별로 보면 지난해 기준 여성 환자 수가 3만 1147명으로 남성 환자(16859명)으로 다소 많았으며, 그중에서도 20대 여성 환자가 7048명으로 가장 많은 환자 수를 기록했다.

Q. 림프절 비대증의 원인은?
A. 림프절 비대증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보통 면역기능의 약화로 림프절이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감염돼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 경우에는 충분한 휴식을 통해 면역력이 회복되면 1~2개월 후 호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열이나 통증 없이 멍울이 단단해지면서 계속해서 커진다면 악성종양과 같은 다른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어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감염병인 원숭이두창과 함께 주요 증상 가운데 하나로 알려지면서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Q. 원숭이두창의 주증상은?
A. 원숭이두창은 임상적으로 발열과 두통, 무기력감이 나타나며 얼굴과 손바닥, 항문, 성기 주변으로 발진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증상과 림프절 비대증이 동반된다면 보건소를 비롯한 의료기관을 통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게 바람직하다.

원숭이두창은 수두나 홍역, 대상포진 등의 질환과 비슷하게 몸에 발진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지만 단단한 압통과 함께 림프절 비대증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림프절에 이상이 생겼다는 것은 우리 몸의 면역 체계에 이상 신호일 수 있으므로 간과해서는 안 될 질환이다.

Q. 림프절 비대증은 발생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지나?
A. 림프절 비대는 증상만으로는 원인이 일시적인 감염인지 악성 종양인지 혹은 여타의 질환으로 발생한 것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다. 초음파 검사나 혈액검사, 조직 검사 등을 통해 발생 원인을 파악해 그에 맞는 치료법을 강구하는 것을 권한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예숙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