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양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정규환 교수·신장암 발병 위치신장은 강낭콩 모양으로 양쪽 등허리 쪽에 본인의 보통 주먹 크기로 붙어 있다. 바깥쪽에 대략 1cm에서 2cm 정도 두께의 살 조직이 있다. 그것이 바로 신실질이고, 그 안에 신우가 깔때기 모양으로 비어
▲ 사진제공=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은 지난 7일 본관 2층에 국내 유일의 안면재활평가실을 개소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국내 안면신경마비 환자는 2014년 6만9226명에서 지난해 9만7941명으로 최근 10년간 41% 증가했다.
※헬스위크에서는 건강과 관련한 독자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고 있습니다. 의료 각 분야 전문가들의 명쾌한 답을 듣고자 하시는 독자께서는 ‘기사제보’ 코너를 통해 궁금증을 남겨주세요!☞기사제보 바로가기▲ 출처=게티이미지뱅크 Q. 안녕하세요? 33세 여성입니다. 저는
▲ 사진제공=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은 오는 13일, 어린이병원 CJ홀에서 ‘온드림 희귀질환 전문 의료진과 함께하는 공개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강좌는 희귀질환 ‘결절성 경화증’에 대한 치료 접근성과 연구 기반 확대를 위해 마련됐으며, 현대차 정몽구 재단(
▲ 사진제공=안양윌스기념병원 안양윌스기념병원이 진씨커의 ‘암세포 탐색 검사’를 병원 내 도입, 환자들에게 한층 더 강화된 암 예방 서비스를 제공한다.한국, 미국, 일본 등 각국에서 특허를 취득한 진씨커의 ‘암세포 탐색 검사’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적용한 원스톱
휴온스가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2개 제품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품목허가를 받으며 북미 시장 확대에 나섰다.휴온스는 5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FDA로부터 ‘1% 리도카인주사제 멀티도즈 바이알 (1% Lidocaine 200 mg/20 mL)’ 및 ‘2% 리도카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최준영 교수숨이 차고 가슴이 조이는 듯한 답답함, 갑작스러운 기침이나 쌕쌕거리는 호흡이 반복된다면 ‘천식(Asthma)’을 의심해 봐야 한다. 천식은 폐 속 기관지가 알레르겐, 공기 오염, 감염 등 다양한 자극에 과민하게
※전문분야: 유방암, 양성유방질환▲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유방갑상선외과 교수▲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졸업▲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임상강사▲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임상조교수▲대한외과학회 정회원▲한국유방암학회 정회원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여성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암인 유방암은 전체 여성 암의 21.5%를 차지하지만, 조기 발견과 표준화된 치료의 확대 덕분에 생존율은 높은 편이다. 하지만 유방암은 진행될 경우 혈액과 림프관을 통해 전신으로 전이할 수 있으며, 치료 후
소아 우울증은 성인 우울증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단순한 감정 기복으로 오해하기 쉬워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소아 우울증을 의심해 봐야 할 주요 증상들을 알아보자.
▲ 출처=게티이미지뱅크당뇨는 가장 흔한 만성질환이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방치하기 쉽지만, 조기에 관리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당뇨가 무서운 이유는 뒤이어 따라오는 질환들 때문이다. 당뇨는 혈액 속 포도당(혈당)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전문분야: 각막·결막질환, 백내장▲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안과 교수▲가톨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졸업▲가톨릭중앙의료원 인턴▲가톨릭중앙의료원 레지던트▲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안센터 전안부 임상강사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따스한 햇살과 함께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요즘, 꽃가루,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 변화로 인해 눈이 가렵고 충혈되는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런 증상을 단순한 피로나 일시적인 자극으로 여겨 방치하기 쉽지만, 반복된다면 면역계
▲ 사진제공=강남베드로병원 강남베드로병원이 강남구와 함께 지역사회 취약계층 의료 복지 증진에 힘을 보태며 민관 협력 기반의 의료 안전망 구축에 앞장선다.뇌·척추 관절 중점진료 종합병원 강남베드로병원은 지난 4월 30일 강남구 도곡1동 주민센터와 ‘건강스위치온(
※헬스위크에서는 건강과 관련한 독자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고 있습니다. 의료 각 분야 전문가들의 명쾌한 답을 듣고자 하시는 독자께서는 ‘기사제보’ 코너를 통해 궁금증을 남겨주세요!☞기사제보 바로가기▲ 출처=게티이미지뱅크 Q. 안녕하세요? 6세 아이를 키우는 엄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