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측부터) 박경아 교수, 김재령 교수, 민주홍 교수, 류광희 교수 뇌혈관 장벽을 통과하여 뇌 척수 신경을 공격하여 영구적인 장애를 남기는 대표적 난치성 질환인 중추신경계 염증 질환 정복에 삼성서울병원이 나섰다.삼성서울병원이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문분야: 건선, 여드름, 피부부속기 질환, 모발, 레이저, 코로나 후류증 클리닉▲이대목동병원 피부과 교수▲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졸업▲이화여자대학교 의학박사▲이화의료원 피부과 전공의▲삼성서울병원 피부과 임상강사▲대힌피부면역학회▲대한건선학회▲대한피부연구학회▲대한피부과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손톱 주변은 살갗이 일어나는 거스러미가 생기기 쉬운 부위다. 까슬까슬한 손톱 거스러미는 보기에도 거슬릴 뿐 아니라, 활동할 때도 신경 쓰이고 불편해 손이나 이로 뜯어 제거하는 사람이 많다. 결과적으로 거스러미가 생긴 부위보다 넓고 깊게 살이 뜯겨
※전문분야: 면역증진, 영양치료, 만성질환, 비만치료, 건강검진▲좋은강안병원 가정의학과 과장▲충북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대한가정의학회 노인의학 수료▲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NST-PEP 수료▲대한약물위해관리학회 약물역학과 위해관리 과정 수료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민족 최대의 명절 한가위는 가족과 친지가 한데 모여 풍성한 음식을 먹고 정을 나누는 즐거운 시간이다. 하지만 명절이 끝나고 나면 ‘속이 더부룩하다’, ‘머리가 아프다’, ‘허리가 뻐근하다’와 같은 호소가 병원마다 늘어난다. 생활 패턴이 바뀌고 과
※전문분야: 급성통증치료▲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인턴▲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레지던트▲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임상강사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살짝 긁힌 상처, 가벼운 골절에도 극심한 통증이 계속된다면 단순히 예민한 탓으로 넘겨서는 안 된다. 바로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이라는 희귀 난치병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질환은 상상 이상의 고통을 안겨주지만, 조기에 진단받고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혹시 숨 쉬는 게 힘들다고 느낀 적이 있는가? 잦은 기침과 호흡곤란을 겪고 있다면, 단순히 나이 탓이나 다른 호흡기 질환이라 여기고 방치해서는 안 된다. ‘특발성 폐섬유증(IPF)’이라는, 폐가 서서히 굳어가는 무서운 질환의 신호일 수
▲ 부천세종병원 비뇨의학과 안동현 과장전립선 비대증은 50대 이상 남성 5명 중 1명꼴로 겪을 만큼 매우 흔한 질환이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생기는 증상이라 생각하고 그냥 참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 부천세종병원 비뇨의학과 안동현 과장과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젊은 층에서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 점막에 염증과 궤양이 생기는 만성 질환이다. 일반적인 장염 증상과 비슷해 방치하기 쉽지만, 수주에서 수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특징을 보여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배우리 교수민족의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설렘과 함께 불안감을 느끼는 부모들이 많다. 바로 명절 연휴 기간, 낯선 환경에서 혹시나 아이가 아프기라도 할까 하는 걱정 때문이다. 특히 평소와 다른 곳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 사진제공=연세의료원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 정진세 교수, 노병화 박사, 약리학교실 김형범 교수, 라무 고팔라빠(Ramu Gopalappa) 박사 연구팀이 기존 운반체에 비해 효과를 23.5배 향상시킨 유전성 난청 치료용 유전자 가위 전달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전문분야: 감염질환▲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가톨릭대학교 의학 학사▲가톨릭대학교 내과학 석사수료▲가톨릭중앙의료원 인턴▲가톨릭중앙의료원 내과 레지던트▲2019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장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소아에게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가 최근 성인에게도 급증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20대 이상 성인 ADHD 환자 수는 약 4배나 늘어났다. 그럼에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선선한 가을 날씨에 등산, 캠핑, 벌초 등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이와 함께 ‘쯔쯔가무시병’ 같은 가을철 감염병 위험도 커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쯔쯔가무시병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