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세포 노화가 종양 유발 바이러스의 감염 취약성을 높이는 새로운 발병 기전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을지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이명신 교수 연구팀이 노화된 인체 내피세포가 카포시 육종 관련 헤르페스바이러스(KSHV) 감염에 더 취약하다
▲ 사진제공=대웅제약 대웅제약이 중증 간 섬유증을 치료하는 최초의 경구용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대웅제약은 자사의 신약 후보 물질 ‘DWP220’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2024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국가신약
▲ 사진제공=분당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성기혁 교수 연구팀이 소아의 발목 성장판 골절 치료에 사용하는 생체흡수성 나사와 금속 나사를 이용한 수술 결과를 비교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발목 성장판 골절은 뼈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장판을
▲ 사진제공=서울대학교병원 경추척수증 수술 후, 예후가 좋아도 매년 불필요한 추적 관찰을 받아야 했던 기존 진료 시스템을 개선할 길이 열렸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수술 예후가 좋은 경추척수증 환자를 선별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해 진료 일정 최적화를 통한 의료 자원
▲ 사진제공=여의도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안과병원 황호식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각막내피세포 이식술을 개발했다. 황 교수 연구팀은 기증자의 데세메막(Descemet membrane)을 두 개의 캐뉼라를 이용해 ‘더블 롤’ 형태로 변환하는 새로운 술기를
▲ 사진제공=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은 지난 11일, ‘2024 제2회 온드림 희귀질환 공동 심포지엄’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미래세대를 준비하는 희귀질환자와 가족을 위해 임신·출산 등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제공하고, 각종 희귀질환 지원
▲ 사진제공=대전을지대학교병원 국내 최초로 5세대 다빈치 수술 로봇 ‘다빈치5’를 도입한 대전을지대학교병원이 첫 수술을 성공리에 시행했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은 다빈치5 가동식을 열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16일 밝혔다.‘꿈의 로봇수술기’로 평가받는 다빈치5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 연구팀은 지속적 신대체요법(CKRT)을 받는 중증 급성신손상(AKI) 환자에서 인바디로 잘 알려진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법(BIA, Bioimpedance Analysis)을 통한
▲ 사진제공=연세암병원 종양에서 분비되는 DNA를 이용해 암 전이와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한상 교수와 코넬 의대 데이빗 라이든 교수 연구팀은 세포밖 소포체에 DNA가 담기는 원리를 규명하고, 이 DNA가 인체 조직에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유방암 환자 중 2cm 이하의 종양 크기라면 액와부 수술 생략을 고려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이대목동병원 외과 이장희 교수는 '유방보존 치료를 받는 폐경 후 ER 양성/HER2 음성 유방암 환자의 액와부 수술 생
▲ (좌측부터)임덕수 대표, 박성수 대표, 정환규 대표, 이원석 대표대웅제약은 티온랩 테라퓨틱스, 대한뉴팜, 다림바이오텍과 ‘비만 치료 4주 지속형 주사제’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새롭게 개발 중인 비만 치료제는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을 기반으
▲ 사진제공=동성제약 동성제약이 ‘인슐린 활성화를 통한 혈당상승 방지 기능성 쌀’, 국내 특허(제10-2694216호)를 보유한 무농약 프리미엄 ‘당박사 쌀’을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당박사 쌀’은 프리미엄 특등미 삼광쌀에 혈당 관리에 도움을 주는 크롬 효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최근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4개국의 소아청소년 비만율을 비교한 결과, 한국 소아청소년의 비만이 가장 심각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소아청소년과 홍용희 교수‧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
▲ 사진제공=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은 환자들이 24시간 365일 언제든지 단 한 번의 신청으로 의무기록 사본을 발급받을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기존에는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의무기록 사본 발급이 불가능했다. 새 시스템은 인공지능(AI) 기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고령 환자라도 암이나 심장 수술 등 고난도 수술 치료가 가능한 가운데, 80세 이상 환자의 척추수술 안전성을 규명한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미국, Global Spine Journal)에 게재되었다. 가톨릭대학교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