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한가위 주의해야 할 우리 아이 응급질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배우리 교수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배우리 교수
민족의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설렘과 함께 불안감을 느끼는 부모들이 많다. 바로 명절 연휴 기간, 낯선 환경에서 혹시나 아이가 아프기라도 할까 하는 걱정 때문이다. 특히 평소와 다른 곳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부모의 당혹감과 긴장감은 더욱 커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지나치게 당황하기보다는, 차분하게 상황에 대처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소아응급실 주요 원인과 발열 대처법
명절 연휴 중 영유아가 응급실을 찾는 가장 흔한 원인은 발열을 비롯한 소화기 및 호흡기 증상이다.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 폐렴, 위장염 등 다양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 발열 기준은 직장 체온 38℃ 이상이지만, 최근에는 고막 체온계를 많이 사용한다.

아이가 열이 날 때 열성 경련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15~30분 이상 지속되면 위험할 수 있으니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또한,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병원에 방문해야 한다.

·3개월 미만 영아가 38℃ 이상의 열이 나는 경우
·발열과 함께 아이가 축 늘어져 활기가 없을 때
·발열이 4~5일 이상 지속될 때


발열 외에도 아이가 갑자기 숨쉬기 힘들어하거나, 얼굴과 입술이 파래지고, 심한 복통, 두통, 의식 저하, 흉통, 경련 등이 반복될 때는 응급실 방문을 고려해야 한다.

-탈수 및 응급 상황 시 대처 요령
아이들은 성인보다 적은 수분 부족에도 쉽게 탈수가 발생할 수 있다. 아이가 평소처럼 잘 먹지 못하고, 소변량이 줄거나, 입과 혀가 마르고, 피부색이 창백해 보이면 탈수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아이가 물을 마실 수 있다면 물이나 경구용 수액제를 조금씩 자주 먹이는 것이 좋다.

명절에는 다양한 음식과 환경 변화, 장거리 이동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벌레에 물렸을 때: 침이나 독을 제거하고, 호흡 곤란이나 얼굴이 창백해지면 119에 연락해야 한다.
·열사병: 직사광선이나 차 안에 아이를 방치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얼굴이 붉어지고 축 처지면 시원한 곳으로 옮겨 수분을 보충해 줘야 한다.
낙상 및 부상: 골절이나 목, 허리 부상이 의심되면 아이를 움직이지 않게 하고 즉시 119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이물질이 목에 걸렸을 때의 응급처치
명절처럼 여럿이 모여 소란스러운 분위기에서 아이가 음식이나 이물질을 삼켜 목에 걸리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음식은 잘게 썰어 천천히 먹이고, 아이가 움직이거나 웃으며 먹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이물질이 목에 걸렸다면, 신속하게 기도를 확보하는 응급조치가 가장 중요하다. 자신이 없다면 즉시 119에 연락하여 지시에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1세 미만 영아: 아이 얼굴이 아래로 향하도록 팔에 엎드리게 한 뒤, 손바닥으로 어깨뼈 사이를 5회 두드린다. 이후 아이를 바로 눕히고 가슴을 두 손가락으로 5회 빠르고 강하게 눌러준다. 이 두 동작을 반복한다.
·1세 이상 소아: 말을 할 수 없거나 숨을 쉬지 못하면 하임리히법을 시행한다. 환자 등 뒤에 서서 주먹을 쥐고 다른 손을 얹어 배꼽과 갈비뼈 사이에 댄 후, 위로 강하게 밀어 올린다.


-응급실 방문 후에도 지속적인 관찰이 중요
응급실 방문 후 집으로 돌아와서도 아이의 상태를 꾸준히 관찰해야 한다. 의사의 지침과 처방약을 정확히 따르고, 증상 변화를 기록해 두면 추후 진료에 큰 도움이 된다. 만약 아이가 평소와 다르게 축 처지거나, 의식이 흐려지고, 반복적인 구토나 경련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다시 병원에 방문해야 한다.

특히 아래와 같은 위험 징후가 나타나면 지체 없이 병원에 가야 한다.
·3개월 이하 영아가 열이 날 때
·반복 구토로 탈수가 의심될 때 (소변을 8시간 넘게 보지 못함)
·호흡 곤란이나 청색증을 보일 때
·경련 발작을 보일 때
·심한 복통과 함께 의식 저하, 구토, 혈변 등이 동반될 때
·외상, 골절, 머리 손상으로 의식 저하나 두통, 구토가 지속될 때


명절 연휴를 떠나기 전, 방문할 지역의 응급실과 당직 의료기관 연락처를 미리 알아두면 위급 상황 발생 시 더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아이의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의료진을 믿고, 응급 상황 대처법을 숙지하는 것이 즐거운 명절을 보내는 현명한 방법이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예숙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