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좌측부터) 김희진 교수, 원홍희 교수, 서진수 교수, 이승연 학생 유전자 검사로 치매 발병 위험을 미리 알 수 있는 시대가 왔다.알츠하이머병은 수많은 유전자의 유전 변이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 예측이 어려운 질환이다. 현재까지는 APOE 유전자 등 일부
▲ (좌측부터) 지씨셀 원성용 대표, 이아소 바이오 테크놀로지 장진화 대표. 사진제공=지씨셀 지씨셀은 중국 ‘난징 이아소 바이오 테크놀로지 (Nanjing IASO Biotechnology, 이하 이아소 바이오)’와 다발성골수종 치료용 CAR-T 치료
▲ 사진제공=세브란스병원B형간염 환자에서 간암 발생 위험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개발됐다.연세대 의대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승업 교수와 용인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전혜연 교수 연구팀은 기존 aMAP 점수에 간경직도(liver stiffness
▲ 국립암센터 신경외과 곽호신 교수국립암센터는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2025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에서 셀랩메드가 개발 중인 IL13Rα2 CAR-T 치료제(코드명, CLM-103)의 임상 1상 결과를 구연발표했다고
▲ 사진제공=신신제약 신신제약은 건조성 피부 및 광범위 피부 질환을 위한 치료제 '유라덤 크림’과 '세라덤 크림’을 리뉴얼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리뉴얼은 피부 질환으로 고민하는 환자들에게 보다 확실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유효성분의 효과 극대화와
▲ 사진제공=유한양행 유한양행의 여성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센스밸런스(SENSE BALANCE)가 피부 건강을 위한 신제품 ‘콜라겐 스틱’을 출시했다. 이번 제품은 여성 피부 건강을 위한 브랜드 확장의 일환으로, 기존 콜라겐 제품에서 지적되던 비린 맛과 섭취 불
▲ 사진제공=광동제약 광동제약은 다회용 인공눈물 ‘아이톡쿨 점안액’ 3종(순·라이트·쿨)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아이톡쿨 점안액 3종은 주성분으로 ‘히프로멜로오스(Hypromellose)’를 함유한 것이 특징이다. 이 성분은 인공눈물의 점도를 높이고 눈물이
▲ 사진제공=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은 대한뇌졸중학회가 주관한 2025년도 뇌졸중등록사업 평가에서 최우수병원으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의정부을지대병원은 뇌졸중센터를 중심으로 24시간 뇌혈관질환 대응, 다학제 협진 시스템 구축, 신속한 치료계획
▲ 사진제공=용인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은 자궁경부암 진단 후 다빈치 로봇을 이용한 자궁경부절제술로 가임력을 보존한 30대 여성이 최근 건강한 아이를 출산했다고 24일 밝혔다.A씨(33세, 여성)는 2020년 말 자궁경부암 검진에서 이상 소견이
▲ 사진제공=연세의료원젊은 성인기의 누적된 심혈관 건강 관리가 중년기의 심뇌혈관질환과 신장질환 발생 위험을 크게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연세대학교 의대 예방의학교실 이호규 교수, 하경화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지종현 교수 연구팀은 30대에 높은 수준으로
▲ 사진제공-이대혈액암병원 이대혈액암병원이 최근 ‘CAR-T 세포 치료’가 가능한 세포·유전자 처리센터를 개설하고 본격 운영에 나서면서 난치성 혈액암 환자들을 위한 치료 옵션을 한층 강화했다.CAR-T(Chimeric Antigen Receptor T) 세포
▲ 사진제공=전북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이 최신형 디지털 PET-CT(양전자방출단층촬영-컴퓨터단층촬영) 장비를 새롭게 도입해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이번에 도입된 디지털 PET-CT(Biograph Vison 600)는 기존 아날로그 장비를 최첨단 시스템으로
▲ 사진제공=동아제약 동아제약은 어린이 영양제 챔큐비타시럽을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챔큐비타시럽은 △글루콘산아연 △비타민B군 4종 △베타인염산염 등을 함유해 병중병후에 오는 체력저하 및 육체피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면역력 저하로 발생하는 구내
▲ 사진제공=충남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이 22일 정밀한 암 진단과 환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AI 기반 종합 흉부질환 진단 솔루션‘AVIEW LCS PLUS’를 도입해 본격 운영을 시작했다. ‘AVIEW LCS PLUS’는 코어라인소프트사 개발로 식품
▲ (좌측부터) 서경진 교수, 전승혁 교수 난치성 유방암으로 꼽히는 삼중음성유방암에서 면역항암치료 효과가 낮은 환자들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생체지표)가 발견됐다. 이를 통해 환자들이 자신과 맞지 않는 항암치료에 시간과 체력을 허비하지 않고,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