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자기 생리량이 과다하게 늘었거나 골반 통증, 압박감 등이 갑자기 생겼다면 자궁근종을 의심해 봐야 한다. 자궁근종은 자궁의 평활근세포와 섬유모세포에 생기는 양성 종양이다. 가임기 여성 3명 중 1명이 겪을 정도로 흔하지만, 무증상이 많아 정기 검사를 통해 우연히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자궁근종은 비암성 종양으로, 일반적으로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크기와 위치에 따라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 골반 통증, 압박감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불임이나 임신 합병증 등 생식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자궁근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등 여성호르몬이 대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 주요 위험인자로 빠른 초경, 비만, 인종, 가족력, 환경적 요인 등이 거론된다. 시기상으로는 가임기에 자궁근종의 크기가 커질 가능성이 있으며, 반대로 폐경 이후 작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증상은 과다 월경, 골반 통증 및 압박감, 빈혈, 생식 기능 장애 등이며, 근종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자궁내막 쪽에 근종이 자라는 ‘점막하 근종’은 과다 월경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크기가 커질수록 빈혈 위험이 높아진다. 자궁 바깥쪽으로 근종이 위치한 ‘장막하 근종’은 골반 압박 증상이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자궁근육 내 자라는 ‘근층내 근종’도 자궁근종 중 하나다.
진단은 주로 골반 진찰과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더 정밀한 검사가 필요한 경우 자궁경 검사, 생리식염수 주입 초음파, MRI 등이 활용되며, 병변이 악성일 가능성이 의심되면 조직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자궁근종의 치료 여부는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경우 주기적인 관찰만으로 충분하지만, 심각한 출혈이나 통증, 생식 기능 장애가 동반된다면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 방법으로는 ‘GnRH 작용제’, ‘프로게스테론 길항제’ 등 성호르몬을 조절하는 약물치료와 자궁동맥 색전술, 자궁근종절제술, 자궁절제술 등 시술‧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가임력 보존을 고려한 최소 침습적 치료법이 선호된다.
자궁근종을 예방하려면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규칙적인 운동과 적정 체중 유지, 충분한 비타민D 섭취가 자궁근종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보고가 있다. 이미 자궁근종이 있는 환자라면, 철분 섭취를 통해 빈혈을 예방하고 정기적 검진으로 관리해야 한다.
자궁근종은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이 어렵다. 이유 없이 생리 주기의 변화나 과다 월경, 골반 통증 등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또 치료 후 재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도 필수이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예숙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