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턱관절장애, 도대체 왜 생기는 걸까?

참진한의원 얼핏클리닉 신정민 원장

▲ 참진한의원 얼핏클리닉 신정민 원장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턱관절 문제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고 있다. 턱관절 장애는 아래턱이 틀어지면서 하악과두와 측두와를 완충해 주는 디스크가 제자리를 벗어나 있거나, 턱관절 움직임을 주도하는 주변 저작근의 불균형 현상이 동반되어 발생하는 제반 증상을 의미한다. 턱관절 장애를 진단하는 3대 증상은 개구장애, 턱관절 소리, 턱통증이다.

개구장애는 하악과두가 디스크에 걸려서 움직임이 진행되지 못하는 상태로 관절의 가동 범위에 제한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입을 벌리고 다무는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것인데, 입을 다문 상태에서 잠기는 경우와 턱이 벌어진 상태에서 잠기는 경우로 나뉜다. 전자는 외익상근과 측두근 후섬유의 과긴장으로 디스크가 전방으로 밀려있는 상태로 입이 벌어지는 정도가 약 0.5~1cm 정도로 제한된다. 후자는 하악과두가 아예 전방으로 탈구되어 입을 닫을 수가 없는 상태이다.

턱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는 하악과두가 디스크를 힘겹게 타고 넘어가기 때문이다. 디스크가 앞으로 이동해 과상 돌기가 디스크의 두꺼운 부분과 겹치게 되면서 발생한다. 상부 외익상근의 긴장으로 관절 내 디스크 위치가 너무 앞으로 나갔거나 측두근 후섬유의 과긴장으로 하악과두가 너무 뒤로 밀려있는 경우에 생기는 증상이다.

턱 통증은 신경이 틀어진 하악과두에 의해 눌리는 신경 포착에 의한 신경 인성 통증과 저작근의 좌우 불균형으로 인한 근막의 과긴장으로 발생하는 근막 인성 통증으로 구분된다.

턱관절 장애는 골격 기형이나 유전적 소인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외상이나 치아 결손으로 인한 교합의 부조화 등의 치과적인 문제가 턱관절 장애의 원인일 수 있다. 영양소가 결핍된 경우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있는 경우에도 턱관절 장애가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반복하는 행동이나 습관도 턱관절 장애의 원인일 수 있다. 즉 이갈이, 편측 저작, 손톱 깨물기, 입술 깨물기, 턱 앞으로 빼기, 혀 내밀기 등의 구강 악습관은 턱관절 주변의 근육을 긴장시킨다. 또한 머리 위치를 앞이나 옆으로 두는 습관, 어깨를 움츠리는 습관, 전화기를 턱과 어깨 사이에 끼우고 통화하는 습관 등도 턱과 목의 근육과 관절을 긴장시키는 안 좋은 습관이다. 불규칙한 식사 습관이나 영양이 결핍된 식사, 카페인 과다 복용 습관도 턱관절 장애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스트레스 또한 턱관절 장애와 관련이 깊다. 스트레스로 인한 정서적 긴장은 턱 주변의 근육인 측두근과 교근을 과긴장시켜 턱관절에 무리를 준다. 스트레스에 취약한 사람일수록 턱관절 이상으로 인한 통증이나 개구장애, 이상 감각 등의 증상을 더 민감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분노, 불안,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가 지배적인 사람의 경우 턱관절장애 증상도 더 심한 경우가 많고, 호전도도 더딘 편이다.

턱관절장애 증상이 보인다면 방치하지 말고 원인을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기 권한다.

<저작권자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훈아 기자 다른기사보기